본문 바로가기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 남북국의 정치

by 노트 주인 2023. 5. 14.
728x90
320x100

한국사
고대 삼국의 정치 가야 남북국의 정치
고대의 경제 고대의 사회 고대의 묘제
고대의 문화    

 

 

1. 통일 산라의 발전

* 삼국사기(왕의 혈통)

- 상대(내물왕계): 혁거세 ~ 진덕여왕

- 중대(무열왕계): 무열왕 ~ 혜공왕, 전제왕권

- 하대(내물왕계): 선덕왕 ~ 경순왕

 

* 삼국유사(불교)

- 상고: 혁거세 ~ 지증왕

- 중고(불교 왕명 시대): 법흥왕 ~ 진덕여왕

- 하고: 무열왕 ~ 경순왕

 

 

1. 중대 (무열왕계, 7c 중반 ~ 8c 후반)

1) 왕권

- 전제 왕권 (신문왕)

 

2) 정치적 사건

- 김흠돌 모역 사건

 

3) 핵심 세력

(1) 진골

- 박씨, 가야계, 고구려계 귀족: 정권에서 소외

(2) 6두품

- 왕의 정치적 조언자

ex. 강수(외교 문서 작성), 설총 <화왕계>

 

4) 핵심 기구

- 집사부(왕명 출납)

 

5) 수상

- 중시(진덕여왕) → 시중(경덕왕)

 

6) 지방 사회

- 9주 5소경

 

7) 핵심 사상

(1) 불교

(2) 기타

- 유학 사상 (→ 국학 설립)

 

8) 관련 유물

- 만파식적(신문왕, 신라의 안정과 번영 상징)

만파식적: 전제 왕권의 상징
- 폐하께서 소리로써 천하를 다스릴 좋은 징조
- 이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어 불면 천하가 화평해질 것

 

9) 주요 국왕

* 7c

(1) 무열왕

- 백제 멸망

(2) 문무왕

- 임해전지 축조

- 의상의 정치적 자문

- 외사정 파견

문무왕 업적
- 삼한을 일통하였으니

(3) 신문왕

- 9서당 10정

- 9주 5소경 정비

- 김흠돌 모역 사건

- 대문의 난

- 국학 설립

신문왕 업적
1. 김흠돌 모역 사건
- 병부령 이찬 군관은 반역자 흠돌 등과 관계하여 역모 사실을 알고도 일찍 말하지 아니하였음
- 군관과 맏아들은 스스로 목숨을 끊게 하고 온 나라에 포고하여 두루 알게 하라
2. 관료전 지급과 녹읍 폐지
- 내외관의 녹읍을 폐지
3. 달구벌 천도 실패 

신문왕의 9주 설치
- 비로소 9주가 갖추어져 대아찬 복세를 총관으로 삼음

(4) 효소왕

- 서시, 남시 설치

 

* 8c

(1) 성덕왕

- 발해 공격 실패 (당 요청)

→ 대동강 이남 지배 인정

- 김대문 ex. <한산기>, <고승전>, <화랑세기> 등

(2) 경덕왕

- 한화 정책 (중국화 정책)

(3) 혜공왕

- 각간 대공의 난(=96 각간의 난)

- 김지정의 난

전제 왕권의 붕괴: 김지정의 난
- 이후 김양상(내물왕 10세손, 후에 선덕왕)과 김경신(내물왕 12세손, 후에 원성왕)이 차례로 왕위에 즉위

 

 

2. 하대 (내물왕계, 8c 말 ~ 10c 전반)

신라 하대의 사회상
- 전쟁과 흉년이라는 두 가지 재앙이 서쪽에서 그치고 동쪽으로 오니 굶어서 죽고 전쟁으로 죽은 시체가 들판에 별처럼 늘어 있었음

1) 왕권

- 전제 왕권의 붕괴

 

2) 정치적 사건

(1) 진골의 왕위 쟁탈전

- 김헌창의 난(헌덕왕): 웅주(공주)

(2) 지방 세력의 반란

- 장보고의 난(문성왕): 청해진(완도)

장보고의 난
- 청해진 대사 궁복(장보고)이 자기 딸을 왕비로 맞지 않은 것을 원망하고 청해진을 근거로 반란을 일으킴

(3) 초적의 발생

- 원종과 애노의 난(진성여왕)

- 적고적의 난(진성여왕)

초적의 발생
- 붉은 바지 도적
- 원종, 애노 등이 사벌주(경북 상주군)에서 반란을 일으킴

 

3) 핵심 세력

(1) 진골

(2) 6두품 (유학)

- 최치원: 골품제 모순 비판

- 최언위와 최승우: 반신라적 경향, 후삼국

 

4) 핵심 기구

- 화백회의

 

5) 수상

- 상대등

 

6) 지방 사회

- 호족 성장

 

7) 핵심 사상

(1) 불교

- 선종 유행

(2) 기타

- 풍수지리설 유행

 

8) 관련 유물

- 승탑과 탑비

 

9) 주요 국왕

* 8c

(1) 선덕왕

- 패강진 설치

(2) 원성왕(김경신)

- 독서3품과 실시 (→ 실패)

- 주 장관 호칭: 총관 → 도독

전제 왕권의 붕괴: 원성왕의 즉위
- 김경신을 세워 왕위를 계승하게 함

(3) 소성왕

 

* 9c

(1) 헌덕왕

- 당 원군 파견

- 김헌창의 난

김헌창, 김범문의 난
- 헌창은 아버지 주원이 왕이 되지 못했다는 핑계로 반역

- 승려 도의: 선종 전래

(2) 흥덕왕

- 귀족의 사치와 향락에 대한 금지 조서

- 장보고: 청해진 설치

(3) 문성왕

- 혈구진 설치

- 장보고X

(4) 진성여왕

- 시무 10여 조(최치원)

- 최치원 약화

 

*10c

(1) 효공왕

(2) 경명왕

(3) 경애왕

(4) 경순왕

 

 

 

2. 신라의 신분적 변화

1. 신라 진골 vs 6두품

  진골 6두품
중대 왕권 견제 국왕의 정치적 조언자
→ 왕권 강화
하대 왕권 견제  
정치 기구 화백 회의 집사부

 

 

2. 신라 호족

신라 호족
- 골화현 금강성의 장군 황보능장

1) 출신

- 낙향한 진골

- 반신라적 6두품

- 촌주 세력

- 군사적 기반 군진 세력

- 초적

 

2) 기반

- 농장, 사병

- 성주, 장군으로 자칭

 

3) 사상

- 선종, 풍수지리설

 

4) 영향

- 관반제(: 새로운 관료제 마련)

 

 

 

3. 후삼국의 성립과 통일

1. 후백제 (견훤, 900)

1) 기반

- 신라 비장

 

2) 건국

- 도읍: 완산주(=전주)

 

3) 정책

- 중국: 오월, 후당과 외교관계

 

 

2. 후고구려 (궁예, 901)

후고구려
- 궁예는 신라인으로 성은 김씨. 아버지는 헌안왕

1) 기반

- 신라 왕족의 후예

 

2) 국호

- 송악: 후고구려 → 마진

- 철원: 태봉

 

3) 정책

- 광평성 설치

 

 

3. 고려 (왕건, 918)

1) 건국

(1) 지역

- 송악의 호족, 나주 확보

(2) 사상

- 선종 승려의 후원

(3) 도읍

- 송악(송악 길지설)

 

2) 정책

- 신라(우호): 공산 전투(대구)

공산 전투
- 신라가 우리와 친선 한 지가 오래되었다. 지금 수도가 유린되는 등 위급한 지경에 처하여 구원을 요청하니 돕지 않을 수 없다.

- 후백제(대립): 고창(안동) 전투

 

3) 통일

- 발해 멸망 (대광현 귀순)

- 신라 멸망 (경순왕 귀순)

- 후백제 멸망 (견훤 귀순): 일리천 전투

 

 

4. 발해

1. 7c 말 (고왕 - 천통, 대조영)

고왕(건국)
- 발해 말갈의 대조영은 본래 고구려의 별종

1) 과정

 - 당의 추격군: 천문령 전투에서 대파

 

2) 건국

(1) 도읍

- 만주 동모산(지린성 둔화시)

(2) 구성

- 지배층: 고구려 유민

- 피지배층: 말갈인

(3) 국호

- 진국 → 발해(발해 군왕)

 

 

2. 8c 전반 (무왕 = 인안, 대무예)

1) 영토 확장

- 동북방 진출, 여러 세력을 복속

 

2) 대립

- 흑수말갈: 당에 사신 파견 보호 요청

- 당: 장군 장문휴가 산둥반도(덩저우) 선제 공격, 당이 신라에게 지원 요청

 

3) 친선

- 일본: 발해 최초로 사신 파견

발해와 일본의 관계
: 교류(무왕)
- 고구려의 옛 땅을 회복하고 부여의 유속을 잇게 됨

 

 

3. 8c 중후반 (문왕 - 대흥, 보력, 대흠무)

1) 천도

- 동모산 중경 → 상경(당이 발해왕에 봉함) → 동경 → 상경

 

2) 외교

(1) 당

- 영주도, 조공도: 상경 → 중경 → 서경 → 당

- 관계 개선: 3성 6부제(독자성 유지), 빈공과 합격

(2) 신라

- 신라도: 상경 → 동경 → 남경 → 신라

(3) 일본

- 일본도: 상경 → 동경 → 일본

- 발해를 천손의 나라로 표현

- 고려국왕, 천손, 구생 (장인-사위)

(4) 인식

- 자신을 전륜성왕(금륜성법대왕)

 

 

4. 9c 초(선왕 - 건흥, 대인수)

* 왕위 계통: 대야발(대조영의 아우) 직계

- 해동성국

 

1) 정복 사업

- 서: 요동 진출

cf) 고구려 광개토대왕

 

2) 지방 정비

- 5경, 15부(도독), 62주(자사) 설치

→ 당이 발해를 해동성국

 

 

5. 10c 전반 (대인선)

1) 과정

- 거란의 세력 확대

- 거란의 상경성(홀한성) 공격 → 멸망

 

2) 이후

- 부흥 운동: 정안국

 

 

6. 민족사 속의 발해

1) 신라와 교류

(1) 교류

- 신라도: 문왕

- 사신 교류: 원성왕, 헌덕왕

(2) 갈등

- 등제 서열: 최치원, 최언위

- 쟁장(: 사신이 윗자리에 앉을 것을 요구하다 거절당함)

갈등(쟁장 사건)
- 발해의 하정사인 왕자 대봉예가 장계를 올려, 발해가 신라 위에 거하기를 허락할 것을 청하였던 바

 

2) 역사 인식

(1) 고려

- 이승휴 <제왕운기>

(2) 조선

- 유득공 <발해고>: 남북국 시대

 

 

 

5. 통치 조직

1. 중앙 (신라)

1) 변화

(1) 집사부

- 명칭: 품주(진흥왕) → 집사부(진덕여왕)

- 기능: 국정 최고 기관(중대 이후)

- 장관: 중시(진덕여왕) → 시중(경덕왕)

(2) 화백회의

 

2) 정비

1) 부의 장관

- 여러 명 가능

- 한 명이 여러 관부 장관도 가능

 

2) 법흥왕

- 병부(국방)

 

3) 진평왕

- 위화부(문관 인사)

 

4) 진덕여왕

- 좌이방부(형벌, 노비 관련)

 

5) 무열왕

- 사정부(중앙 관리 감찰)

 

6) 신문왕

- 공장부(수공업), 선부(해상 교통)

 

 

2. 중앙 (발해)

1) 3성 6부

(1) 수용

- 당의 3성 6부제 수용

(2) 독자성

- 6부

(3) 3성

- 수상: 대내상(정당성 장관)

 

2) 기타

- 중정대 (관리 비리 감찰)

- 문적원 (서적 관리)

- 주자감 (중앙 교육 기관)

 

 

3. 지방 (통일 신라)

1) 제도

(1) 9주

- 정비: 신문왕

- 장관: 군주(지증왕) → 총관(문무왕)

(2) 5소경

- 통일 후 문무왕: 북원경(원주), 금관경(김해)

- 통일 후 신문왕: 서원경(청주), 남원경(남원)

- 통일 후 경덕왕: 중원경(충주)

cf) 촌주

- 역할: 3년마다 민정문서 작성

- 대가: 촌주위답

- 견제: 상수리 제도

 

 

4. 지방 (발해)

1) 5경

- 전략적 요충지

 

2) 15부

- 지방 행정의 중심

- 도독 파견

 

 

5. 군사

1) 신라

- 10정(지방군):  한주(한산주)에는 2정 배치

 

 

 

6. 독자적 연호 사용

1. 의미

- 자주적 국가임을 표방

 

 

2. 사례

1) 고구려

- 광개토 대왕: 영락

 

2) 신라

(1) 법흥왕: 건원

(2) 진덕여왕: 태화

 

3) 발해

(1) 무왕: 인안

(2) 문왕: 대흥, 보력

(3) 선왕: 건흥

 

4) 고려

(1) 광종: 광덕, 준풍

 

320x100
반응형

'공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고대의 문화  (1) 2023.05.15
[한국사] 고대의 묘제  (0) 2023.05.14
[한국사] 고대의 사회  (1) 2023.05.14
[한국사] 고대의 경제  (0) 2023.05.14
[한국사] 가야  (0) 2023.05.14
[한국사] 고대 삼국의 정치  (0) 2023.05.14
[한국사] 초기 국가  (1) 2023.05.14
[한국사] 고조선  (1) 2023.05.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