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 고대 삼국의 정치

by 노트 주인 2023. 5. 14.
728x90
320x100

한국사
고대 삼국의 정치 가야 남북국의 정치
고대의 경제 고대의 사회 고대의 묘제
고대의 문화    

 

 

* 고대 국가의 특징(: 중앙 집권 체제)

1. 정치: 왕위의 세습화(형제 상속 → 부자 상속)

2. 사회: 율령 반포

ex. 골품제

3. 사상: 불교 수용 

- 극복 노력(신라): 이차돈 순교, 업설

4. 발전: 한강 유역 쟁탈전

신라 왕호의 변화
- 거서간: 귀인의 칭호
- 차차웅: 무당
- 이사금: 이를 시험한 즉, 유리의 이가 많았음. 군신들은 유리를 받들어 왕을 세우고 이사금이라고 함
- 마립간: 왕의 말뚝이 주가 되고, 신하의 말뚝이 그 밑에 열을 맞춤

 

 

1. 건국과 형성 과정

1. 건국

1) 고구려

(1) 동명왕

- 수도: 졸본(오녀산성)

cf) 천도(유리왕): 국내성

동명왕 신화
- 주몽의 아버지는 천제의 아들인 해모수
- 해모수는 동시에 북부여의 왕
- 부여의 속어에 활을 잘 쏘는 자를 '주몽'
- 주몽이 졸본천에 이르러 보니 산천이 험하여 이곳에 도읍을 하기로
- 나라 이름을 고구려, 고를 그의 성씨로 삼음

 

2) 백제

(1) 온조왕

- 수도: 하남 위례성

온조왕 신화
- 백제의 시조는 온조왕, 아버지는 주몽
- 온조는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함
- 국왕의 핏줄이 고구려와 같이 부여에서 나온 것이라 하여 부여를 성씨로 삼음

 

3) 신라

(1) 혁거세

- 사로국 건국

혁거세 신화
- 시조의 성은 박씨, 이름은 혁거세
- 나정 옆 수풀 사이에서 말이 무릎을 꿇고 울고 있었음. 이에 가보니 문득 말은 보이지 않고 큰 알이 있었음
- 거서간은 진한 사람들의 말로 왕

 

 

2. 1c ~ 2c

1) 고구려

(1) 태조왕

- 정복 사업: 동옥저 정복

- 왕위 세습화: 계루부 고씨의 왕위 독점

(2) 고국천왕

- 부자 상속제

- 5부를 수도의 행정 구역으로 변화

- 진대법 실시 → 목적: 국가 재정 안정

 

 

3. 3c

1) 백제

(1) 고이왕

- 목지국 병합

- 율령 공포, 관등제 정비(6좌평, 16관등), 관복제 도입(자, 비, 청색)

 

2) 고구려

(1) 동천왕

- 위(관구검)의 공격

 

3) 가야

- 전기 가야 연맹 형성 (금관가야)

 

 

 

2. 발전 과정

1. 4c

1) 백제

(1) 근초고왕

- 동진-백제-가야-왜를 잇는 무역활동

- 한자 전파(아직기)

- <서기> 편찬

- 왕위세습화: 부자 상속제

근초고왕의 업적
- 평양 전투 승리: 겨울에 왕은 태자와 더불어 정병 3만 명을 거느리고, 고구려왕 사유
- 요서 진출: 고려가 요동을 차지하니 백제는 요서를 차지
- 칠지도 하사

(2) 침류왕

- 불교 수용(전래: 동진의 마라난타)

 

2) 고구려

(1) 미천왕

- 한 군현 축출 (낙랑, 대방군)

(2) 고국원왕

- 전연(선비족, 모용황)의 공격으로 환도성 함락

- 백제 근초고왕 침략으로 평양성에서 전사

(3) 소수림왕

- 율령 반포, 불교 수용, 태학 설립

(4) 광개토(대)왕

- 최초의 연호: 영락

- 요동을 포함한 만주 대부분 차지

광개토대왕릉비문
- 옛적 추모왕이 나라를 세웠는데, 북부 부여에서 태어났으며, 천제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하백의 따님
- 영락태왕
- 아리수를 건너 군사를 보내 성을 압박
- 백제가 서약을 어기고 왜와 화통

 

3) 신라

(1) 내물마립간

- 김씨의 왕위 세습 → 왕위: 마립간(: 대수장)

- 고구려 후원으로 왜의 침략 격퇴(호우명 그릇)

- 외교: 사신 위두를 전진에 파견

5c 고구려 - 신라 관계
- 실성왕은 내물왕 37년에 고구려에 볼모로 잡혀갔다가

 

4) 가야

- 전기 가야 연망 해체

(신라를 후원하는 고구려가 왜군을 쫓아 금관가야 공격)

 

 

2. 5c

1) 고구려

(1) 장수왕

- 평양성 천도

- 충주(중원) 고구려비 건립

- 백제 공격

- 경당 설립(: 지방 사립학교, 평민 자제에게 한학 및 무술 교육)

장수왕 업적
- 평양으로 천도
- 중국의 북위와 송에 사신을 보냄 (남북조와 각각 교류)
- 부여경 죽이고 (한강 유역 점령)

중원고구려비문
- 중원에 왔으나
- 12월에 신라 매금이 신하와 함께 고구려의 대사자 다우환노를 만나 이곳에 주둔하고 있던 고구려 당주인 발위사자 금노로 하여금 신라 국내의 중인을 내지로 옮기게 함

(2) 문자명왕

- 북부여 병합

 

2) 백제

(1) 비유왕

- 1차 나제 동맹 (눌지마립간)

(2) 개로왕

- 북위에 국서 보냄(군사 원조 요청, 남진정책 대응)

개로왕
1. 북위에 보낸 국서
- 저와 고구려는 조상이 모두 부여 출신
- 그의 조상 사유, 우리 조상 수
- 고구려는 의롭지 못하여 반역하고 간계를 꾸미는 일이 많음
- 남쪽으로는 송과 내통, 북쪽으로는 전연과 맹약을 맺어 강하게 결탁

(3) 문주왕

- 웅진 천도

(4) 동성왕

- 2차 나제 동맹 (결혼 동맹, 소지마립간)

 

3) 신라

(1) 눌지마립간

- 1차 나제 동맹 (비유왕)

나제동맹
- 눌지마립간 17년 7월에 백제가 사신을 보내어 화친을 청하므로 동맹을 맺음

(2) 소지마립간

- 2차 나제 동맹 (결혼 동맹, 동성왕)

- 나을에 신궁 설립

- 우역(역참) 설치, 관도(: 기간 도로) 보수

- 수도에 시장 설치

- 6촌 → 6부

나제동맹
- 백제왕 모대(동성왕)가 사신을 보내 혼인을 청하매 왕은 이벌찬 비지의 딸을 보냄

 

4) 가야

- 후기 가야 연맹 형성 (대가야, 고령)

 

 

3. 6c

1) 신라

(1) 지증왕

- 순장 금지

- 시장 → 동시, 동시전 설치

- 국호: 사로국 → 신라

- 왕호: 마립간 → 왕

- 지방: 주, 군 설치, 군주(장관) 파견

- 우산국 정복(이사부)

지증왕 업적
- '신라'를 나라 이름으로 삼는 것이 옳다고 생각
- 실직주를 설치하고 이사부를 군주로 임명
- 섬
- 왕은 이찬 이사부에게 명령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토벌하게 하였음
- 우산국

(2) 법흥왕

- 연호: 건원

- 사회: 율령 반포, 골품제 정비

- 정치: 관등제 정비(17관등), 공복 제정(자, 비, 청, 황)

- 관직: 상대등 설치, 병부 설치

- 불교 공인(이차돈 순교) → 불교 왕명 시대 시작 (~진덕여왕)

- 금관가야: 항복

- 대가야: 혼인 동맹

법흥왕 업적
- 병부 설치
- 법령을 반포하고 처음으로 관리들의 관복 제정
- 처음으로 불법 시행
- 상대등이라는 벼슬이 이때부터 시작
- 금관가야의 왕이 왕비와 세 아들을 데리고 나라에 있던 보물을 가지고 와서 항복
- 처음으로 연호를 정하여 건원 원년이라고 함

(3) 진흥왕

- 연호: 개국, 대창, 홍제

- 사회: 화랑도, 미륵불

- 불교: 팔관회 개최, 황룡사 건립

→ 불교 교단 정비

- 정치: 품주 설치(: 처음엔 국가 재정 담당)

진흥왕 업적
- 국사를 꾸미게 함
- 우륵에게 음악을 배우게 함
- 백제왕 명농이 가량과 함께 와서 관산성을 공격, 삼년산군의 고간 도도가 재빨리 공격하여 백제왕을 죽임
- 지금의 창녕에 하주를 설치
- 가야가 모반하니 왕이 이사부에게 명하여 그들을 치게 하고 사다함이 돕게 함
- 황룡사를 준공
- 순수비: 북한산을 수행하고 국경을 넓혀 정함

 

2) 백제

(1) 무령왕

- 지방: 22담로 설치

- 남조(양) 교류

- 벽돌 무덤 → 영동댖아군 백제사마왕

(2) 성왕

- 사비 천도

- 국호: 남부여

- 좌절: 관산성 전투 (신라 vs 백제+대가야+왜)

성왕 업적
- 백제 왕이 백제군과 신라와 가야의 병사들을 친히 이끌고 고구려를 정벌하여 한성을 획득함

 

3) 고구려

(1) 평원왕

- 온달 활약

(2) 영양왕

- 온달의 한강 유역 회복 시도

- 수의 요서 선제공격

살수대첩 (청천강) - 여"수장우중문"시

- 문화: 이문진 <신집>

(3) 연개소문

- 대대로 → 대막리지

(4) 보장왕

 

4) 가야

- 대가야 멸망(진흥왕)

 

 

 

3. 고구려의 대외 항쟁과 삼국 통일 (6c 말 ~ 7c 중반)

5c 중 ~ 6c 말: 남조 vs. 북조
6c 말 ~ : 통일 왕조
- 수: 6c 말 ~ 7c 초
- 당: 7c 초 ~ 10c 초

1. 고구려의 중국과의 항쟁

1) 수

(1) 과정

- 고구려: 수의 요서 지방을 선제공격(영양왕)

- 수(양제)의 1차 침략: 을지문덕의 살수대첩(청천강, 612, 영양왕)

여수장우중문 시
그대의 신기한 책략은 하늘의 이치를 다했고
오묘한 계획은 땅의 이치를 다했노라
전쟁에 이겨서 그 공이 이미 높으니
만족함을 알고 그만 두기를 바라노라.

 

2) 당

(1) 상황

- 고구려: 연개소문의 독재 (대대로(; 3년 임기직) → 대막리지(; 종신 세습직))

- 도교 장려로 승려 보덕이 백제 망명

(2) 과정

- 당 태종 침략 vs 안시성 전투(보장왕)

 

 

2. 7c 백제와 신라의 변화

1) 백제

(1) 무왕

- 미륵사지 석탑(현존 최고)

(2) 의자왕

- 신라 대야성 비롯 40여 성 획득

- 사택지적비 건립

 

2) 신라

(1) 진평왕

- 연호: 건복

- 관제 정비: 위화부

- 수와 친선: 승려 원광, 걸사표(: 군사를 청하는 글)

신라와 수의 연합
- 고구려가 여러 번 국경을 침범함을 걱정
- 빈도는 대 왕의 땅에 살면서 대왕의 물과 풀을 먹고 있사오니 감히 명령을 따르지 않겠습니까

(2) 선덕여왕

- 연호: 인평

- 백제 공격으로 대야성 함락

- 분황사, 영묘사, 첨성대 건립

7c 신라의 외교 활동
1. 고구려와 연합 시도
- 고구려 왕이 "죽령은 본래 우리 땅. 만약 죽령 서북땅을 돌려준다면 군사를 내줄 수도 있음"

(+) 김춘추 → 김유신

(3) 진덕여왕

- 당과 교류

7c 신라의 외교 활동
2. 당과의 연합
- 백제는 강성하고 교활하여 침략을 일삼아 왔음
- 만약 폐하께서 군사를 보내 그 흉악한 무리들을 없애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의 왕과 백성들은 모두 포로가 될 것
- 산과 바다 건너 행하는 조회도 다시는 바랄 수 없을 것

 

 

3. 신라의 통일 전쟁

1) 백제

(1) 멸망: 황산벌 전투

(2) 부흥 운동

- 주류성: 복신, 도침, 부여풍

- 임존성: 흑치상지, 지수신

- 백강 입구에서 나/당 연합군에 패배

백제 부흥 운동에 대한 일본 지원
- 일본의 군선과 당의 군선이 만나 전투를 벌였음

 

2) 고구려

(1) 부흥 운동

- 한성(황해도 재령): 검모잠

- 금마저(신라 땅, 신라 후원): 안승

- 압록강 오골성: 고연무

- 신라가 지원

 

3) 당

(1) 당의 야욕

- 웅진도독부(백제), 계림도독부(경주) 설치

- 취리산회맹(: 당 주도, 신라 문무왕과 백제왕자 부여융의 국경 합의)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
- 두 나라를 평정하기 전에는 개처럼 토끼의 발자취를 쫓는 부림을 당하더니, 들에 짐승이 없어지자 요리사에게 잡혀 죽는 신세가 된 꼴

(2) 과정

- 석성 전투: 신라가 소부리주 설치(웅진도독부 대신)

- 최종 승리: 매소성 전투, 기벌포 전투

나당 전쟁
- 매소성 전투: 매소성에 주둔. 우리 군사가 이를 쳐서 쫓아 버림
- 기벌포 전투: 소부리주 기벌포에서 당의 설인귀와 스물두 번의 크고 작은 전투

(3) 결과

- 대동강~원산만에 이르는 국경선 확정

 

 

 

4. 통치 구조

1. 정치 체제

1) 통치

(1) 초기: '부' 체제

- 형식적: 독자적 외교권 없음

- 예시: 고구려 5부, 백제 5부, 신라 6촌→6부

연맹 왕국인 고구려
- 5부 체제
- 부 자체의 종묘를 세우고 하늘의 별과 사직에 따로 제사를 지냄

(2) 발전

- 부: 수도의 행정 구역으로 전환

 

2) 귀족 합의 제도

- 고구려 제가회의

- 백제 정사암회의

- 신라 화백회의

고대 삼국의 귀족 회의
1. 백제
- 정사암이란 바위가 있음

2. 신라
- 큰일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중의를 따름
- 이를 화백이라 부름

 

 

2. 중앙 조직

  고구려 백제 신라
관등제 호칭 형, 사자 좌평, 솔, 덕  
관등제 정비 ? 고이왕 법흥왕
관등제 관복   자, 비, 청 자, 비, 청, 황
중앙 관제 정비 대대로(선출)
→막리지(세습)
상좌평(선출) 상대등(선출 or 임명)

* 고구려 재상: 좌보, 우보 → 국상 → 대대로(토졸) → 막리지

 

 

3. 지방 조직과 군사 조직

  고구려 백제 신라
수도 체계 5부    
수도 정비 고국천왕 성왕 소지마립간
지방 관리
행정 관리+군사지휘관
욕살(대성) - 처려근지(중성) 방령 군주
지방 특수조직 3경 22담로 3소경
군사 청소년 조직 선비   화랑도

 

320x100
반응형

'공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고대의 사회  (1) 2023.05.14
[한국사] 고대의 경제  (0) 2023.05.14
[한국사] 남북국의 정치  (0) 2023.05.14
[한국사] 가야  (0) 2023.05.14
[한국사] 초기 국가  (1) 2023.05.14
[한국사] 고조선  (1) 2023.05.14
[한국사] 선사시대  (0) 2023.05.1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합격 후기  (0) 2022.04.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