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 ||
고대 삼국의 정치 | 가야 | 남북국의 정치 |
고대의 경제 | 고대의 사회 | 고대의 묘제 |
고대의 문화 |
1. 삼국 시대
1. 고구려
1) 모습
(1) 지배층
- 왕족(계루부 고씨)
- 왕비족(연나부)
고대의 지배층의 신분 구성
: 귀족인 대가, 하층민인 하호
- 대가, 하호
(2) 성격
- 상무적 기풍
고구려의 사회 모습
- 벼슬로는 대대로, 태대형, 대형 등
- 관직자들은 두 개의 새 깃털로 장식한 모자(조우관)를 씀
1. 약탈 경제
- 큰 산과 깊은 골짜기가 많고
- 좋은 밭이 없어서 힘들여 일구어도 배를 채우기는 부족
- 작은 창고를 부경이라 부름
(3) 혼인
- 지배층: 서옥제(: 데릴사위), 형사취수제
고구려의 혼인 풍습
1. 데릴사위제
- 혼인할 때는 미리 약속을 하고 신부 집 뒤편에 작은 별채를 지음
- 사윗집(서옥)
2. 형사취수제
- 고국천왕이 죽자 왕후 우씨는 죽음을 비밀로
- 다음 날 왕후가 선왕의 명령이라 사칭하고 왕의 둘째 동생 연우를 왕으로 세움
- 왕은 우씨 때문에 왕위에 올랐으므로 다시 장가들지 않고 우씨를 왕후로 삼음
2) 정책
- 형법: 물건을 훔친 자는 12배 물어주기
- 진대법(: 고국천왕 때 을파소 건의로 실시; 국가 재정 안정과 국방력 유지를 위해 실시)
진대법
- 매년 봄 3월부터 가을 7월까지 관청의 곡식을 내어 백성의 식구가 많고 적음에 따라 등급을 정하여 꾸어 주고 겨울 10월에 갚게 하는 상설 규정을 만드니
2. 백제
1) 모습
(1) 지배층
- 왕족: 부여씨
- 귀족(8성): 사(사택) → 7c
(2) 언어 및 풍속
- 의복: 고구려와 비슷
2) 형법
- 도둑질한 자: 귀양 + 2배 보상
- 관리가 뇌물을 받거나 국가 재물 횡령: 3배 배상, 죽을 때까지 가두기
- 부인이 간통하면 남편 집의 종으로 삼음
3) 사회 안정 정책
- 구황기 곡물을 빌려주고 이자 취득
3. 신라
1) 화백회의
(1) 기원
- 씨족 사회적 전통
(2) 장소
- 4영지
(3) 구성
- 의장(상대등) + 귀족(대등)
- 운영: 만장일치제
(4) 변천
- 상대(국정 주도) → 중대(전제 왕권, 상대적 약화) → 하대
cf) 갈문왕(신라): 최초 성씨집단의 씨족장에게 준 칭호
화백회의
1. 4영지에서의 회의 개최
- 남산에 모여 국사를 논의할 때
- 대신들이 그곳에 모여 도모하면 반드시 성사됨
2. 기능(국왕 폐위)
- 귀족들이 그를 폐위시킴
2) 화랑도
(1) 구성
- 화랑(진골) + 낭도(다양한 신분)
(2) 기능
- 계층 간의 대립과 갈등 조절
(3) 국가적 정비
- 진흥왕
- 원광의 세속 5계(진평왕)
(4) 유래
ex) 원화 제도 → 씨족 사회 전통
(5) 사상적 배경
- 미륵 신앙
ex) 풍류 사상(최치원)
(6) 기록된 문헌
- 김대문 <화랑세기>
cf) 유사 조직
- 고구려의 선비
- 백제의 수사
화랑도
1. 기원
- 진흥왕, 원화 제도
2. 최치원의 평가
- 풍류라는 현묘한 도
- 공자(노나라의 사구)의 뜻
- 노자(주나라의 주사)의 뜻
- 석가(축건태자)의 교화
2. 고대의 신분제도
1. 신분 제도의 성립
- 귀족 + 평민 + 천민
노비 발생 요인
1. 전쟁 노비
- 왕(근초고왕)이 태자에게 군사를 주니, 포로를 장수와 사졸들에게 나누어 줌
2. 형벌 노비
- 도둑질한 자는 노비로 삼음 (8조법)
3. 연좌제를 통한 노비 형성
- 처자는 모두 종으로 삼음
4. 부채 노비
- 갚는 것이 양에 차지 않으면 데려다 노비로 삼음
신분의 이동: 노비의 양민화
- 받은 사람을 놓아주어 양민으로 만들고 농토는 병사에게 나누어 줌
1) 신분적 차별의 법제화
- 율(형법), 령(행정법) 제정
- 귀족 내 차별적 신분제 운영(골품제)
2. 골품 제도
1) 성립
(1) 과정
- 6c 법흥왕
(2) 구성
- 골족: 성골, 진골
- 두품족: 6두품(=득난), ...
cf) 골품제 적용X 지방 토착 세력
- 5~4두품에 해당되는 외위 11관등
2) 기능
(1) 정치
- 관등 제한: 6두품(6관등 아찬), 5두품(10관등 대나마)
- 관직 제한: 골족이 왕위와 장관 독점
(2) 사회
- 골품별 생활 규제
3) 보안
- 중위제 실시(통일 전후)
3. 골품 제도의 변화: 중대 이후
1) 골족
- 성골: 소멸
- 진골 문화: 우리 문화의 독자성 강조
ex) 김대문 <화랑세기>, <한산기>, <고승전>, <계림잡전> (진골, 성덕왕)
2) 두품족
* 6두품
(1) 중대
- 전제 왕권의 확립에 따른 상대적 두각
- 강수, 설총
(2) 하대
- 최치원: 골품제 개혁 시도
- 최승우, 최언위: 후삼국 건립에 참여
신라의 6두품
: 골품제에 대한 불만
1. 중대
- 우리나라에서는 사람을 쓰는데 먼저 골품을 따진다.
- 정말 그 족속이 아니면 비록 큰 재주나 뛰어난 공이 있다 하더라도 크게 될 수 없다.
3) 극복 노력
- 시도: 독서3품과 (원성왕)
3. 남북국 시대
1. 통일 신라
1) 중대
- 민족 통합: 9서당
2) 하대
- 모순 심화
(1) 지배층
- 배경: 전제왕권 붕괴
- 내용: 지방 호족 등장
(2) 피지배층
- 배경: 조세 징수 강화 시도
- 내용: 농민 봉기 발생
ex) 진성여왕: 원종과 애노의 난, 적고적의 난
3) 생활 모습
(1) 도시 발달
ex) 금성(경주), 5소경
(2) 귀족
- 전장 + 녹읍(경제적 기반)
- 흥덕왕의 사치 금지령(정부 대응)
통일 신라 귀족의 생활
- 바다 가운데 섬에서 길러 필요할 때 활로 쏘아서 잡아먹음 (가축을)
- 곡식을 꾸어서 갚지 못하면 노비로 삼음
- 민간에서는 지붕을 기와로 덮고 짚을 쓰지 아니하며, 밥을 짓되 숯으로 짓고
사치 금지령
- 세상의 습속은 점점 각박해지고 백성들은 다투어 사치와 호화를 일삼고 오로지 외래품의 진귀한 것만을 숭상하고 토산품의 야비한 것을 싫어함
2. 발해
1) 신분
(1) 지배층
- 구성: 다수의 고구려계(귀족인 고씨) + 일부 말갈계
- 생활: 당의 제도와 문화를 수용 → 빈공과 합격
(2) 피지배층
- 구성: 다수의 말갈계 + 일부 고구려계
발해 사회의 모습
- 백성에는 말갈인이 많고 토인이 적음. 토인이 촌장이 됨
(* 토인: 토착 세력가인 수령)
2) 생활
- 촌락: 토착 세력가인 수령
'공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고려 후기의 정치 (1) | 2023.05.16 |
---|---|
[한국사] 고려 전기의 정치 (1) | 2023.05.15 |
[한국사] 고대의 문화 (1) | 2023.05.15 |
[한국사] 고대의 묘제 (0) | 2023.05.14 |
[한국사] 고대의 경제 (0) | 2023.05.14 |
[한국사] 남북국의 정치 (0) | 2023.05.14 |
[한국사] 가야 (0) | 2023.05.14 |
[한국사] 고대 삼국의 정치 (0) | 2023.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