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 고대의 사회

by 노트 주인 2023. 5. 14.
728x90
320x100

한국사
고대 삼국의 정치 가야 남북국의 정치
고대의 경제 고대의 사회 고대의 묘제
고대의 문화    

 

 

1. 삼국 시대

1. 고구려

1) 모습

(1) 지배층

- 왕족(계루부 고씨)

- 왕비족(연나부)

고대의 지배층의 신분 구성
: 귀족인 대가, 하층민인 하호
- 대가, 하호

(2) 성격

- 상무적 기풍

고구려의 사회 모습
- 벼슬로는 대대로, 태대형, 대형 등
- 관직자들은 두 개의 새 깃털로 장식한 모자(조우관)를 씀

1. 약탈 경제
- 큰 산과 깊은 골짜기가 많고
- 좋은 밭이 없어서 힘들여 일구어도 배를 채우기는 부족
- 작은 창고를 부경이라 부름

(3) 혼인

- 지배층: 서옥제(: 데릴사위), 형사취수제

고구려의 혼인 풍습
1. 데릴사위제
- 혼인할 때는 미리 약속을 하고 신부 집 뒤편에 작은 별채를 지음
- 사윗집(서옥)

2. 형사취수제
- 고국천왕이 죽자 왕후 우씨는 죽음을 비밀로
- 다음 날 왕후가 선왕의 명령이라 사칭하고 왕의 둘째 동생 연우를 왕으로 세움
- 왕은 우씨 때문에 왕위에 올랐으므로 다시 장가들지 않고 우씨를 왕후로 삼음

 

2) 정책

- 형법: 물건을 훔친 자는 12배 물어주기

- 진대법(: 고국천왕 때 을파소 건의로 실시; 국가 재정 안정과 국방력 유지를 위해 실시)

진대법
- 매년 봄 3월부터 가을 7월까지 관청의 곡식을 내어 백성의 식구가 많고 적음에 따라 등급을 정하여 꾸어 주고 겨울 10월에 갚게 하는 상설 규정을 만드니

 

 

2. 백제

1) 모습

(1) 지배층

- 왕족: 부여씨

- 귀족(8성): 사(사택)  7c

(2) 언어 및 풍속

- 의복: 고구려와 비슷

 

2) 형법

- 도둑질한 자: 귀양 + 2배 보상

- 관리가 뇌물을 받거나 국가 재물 횡령: 3배 배상, 죽을 때까지 가두기

- 부인이 간통하면 남편 집의 종으로 삼음

 

3) 사회 안정 정책

- 구황기 곡물을 빌려주고 이자 취득

 

 

3. 신라

1) 화백회의

(1) 기원

- 씨족 사회적 전통

(2) 장소

- 4영지

(3) 구성

- 의장(상대등) + 귀족(대등)

- 운영: 만장일치제

(4) 변천

- 상대(국정 주도) 중대(전제 왕권, 상대적 약화) → 하대

cf) 갈문왕(신라): 최초 성씨집단의 씨족장에게 준 칭호

화백회의
1. 4영지에서의 회의 개최
- 남산에 모여 국사를 논의할 때
- 대신들이 그곳에 모여 도모하면 반드시 성사됨

2. 기능(국왕 폐위)
- 귀족들이 그를 폐위시킴

 

2) 화랑도

(1) 구성

- 화랑(진골) + 낭도(다양한 신분)

(2) 기능

- 계층 간의 대립과 갈등 조절

(3) 국가적 정비

- 진흥왕

- 원광의 세속 5계(진평왕)

(4) 유래

ex) 원화 제도 → 씨족 사회 전통

(5) 사상적 배경

- 미륵 신앙

ex) 풍류 사상(최치원)

(6) 기록된 문헌

- 김대문 <화랑세기>

cf) 유사 조직

- 고구려의 선비

- 백제의 수사

화랑도
1. 기원
- 진흥왕, 원화 제도

2. 최치원의 평가
- 풍류라는 현묘한 도
- 공자(노나라의 사구)의 뜻
- 노자(주나라의 주사)의 뜻
- 석가(축건태자)의 교화

 

 

 

2. 고대의 신분제도

1. 신분 제도의 성립

- 귀족 + 평민 + 천민

노비 발생 요인
1. 전쟁 노비
- 왕(근초고왕)이 태자에게 군사를 주니, 포로를 장수와 사졸들에게 나누어 줌

2. 형벌 노비
- 도둑질한 자는 노비로 삼음 (8조법)

3. 연좌제를 통한 노비 형성
- 처자는 모두 종으로 삼음

4. 부채 노비
- 갚는 것이 양에 차지 않으면 데려다 노비로 삼음

신분의 이동: 노비의 양민화
- 받은 사람을 놓아주어 양민으로 만들고 농토는 병사에게 나누어 줌

 

1) 신분적 차별의 법제화

- 율(형법), 령(행정법) 제정

- 귀족 내 차별적 신분제 운영(골품제)

 

 

2. 골품 제도

1) 성립

(1) 과정

- 6c 법흥왕

(2) 구성

- 골족: 성골, 진골

- 두품족: 6두품(=득난), ...

cf) 골품제 적용X 지방 토착 세력

- 5~4두품에 해당되는 외위 11관등

 

2) 기능

(1) 정치

- 관등 제한: 6두품(6관등 아찬), 5두품(10관등 대나마)

- 관직 제한: 골족이 왕위와 장관 독점

(2) 사회

- 골품별 생활 규제

 

3) 보안

- 중위제 실시(통일 전후)

 

 

3. 골품 제도의 변화: 중대 이후

1) 골족

- 성골: 소멸

- 진골 문화: 우리 문화의 독자성 강조

ex) 김대문 <화랑세기>, <한산기>, <고승전>, <계림잡전> (진골, 성덕왕)

 

2) 두품족

* 6두품

(1) 중대

- 전제 왕권의 확립에 따른 상대적 두각

- 강수, 설총

(2) 하대

- 최치원: 골품제 개혁 시도

- 최승우, 최언위: 후삼국 건립에 참여

신라의 6두품
: 골품제에 대한 불만

1. 중대
- 우리나라에서는 사람을 쓰는데 먼저 골품을 따진다.
- 정말 그 족속이 아니면 비록 큰 재주나 뛰어난 공이 있다 하더라도 크게 될 수 없다.

 

3) 극복 노력

- 시도: 독서3품과 (원성왕)

 

 

 

3. 남북국 시대

1. 통일 신라

1) 중대

- 민족 통합: 9서당

 

2) 하대

- 모순 심화

(1) 지배층

- 배경: 전제왕권 붕괴

- 내용: 지방 호족 등장

(2) 피지배층

- 배경: 조세 징수 강화 시도

- 내용: 농민 봉기 발생

ex) 진성여왕: 원종과 애노의 난, 적고적의 난

 

3) 생활 모습

(1) 도시 발달 

ex) 금성(경주), 5소경

(2) 귀족

- 전장 + 녹읍(경제적 기반)

- 흥덕왕의 사치 금지령(정부 대응)

통일 신라 귀족의 생활
- 바다 가운데 섬에서 길러 필요할 때 활로 쏘아서 잡아먹음 (가축을)
- 곡식을 꾸어서 갚지 못하면 노비로 삼음
- 민간에서는 지붕을 기와로 덮고 짚을 쓰지 아니하며, 밥을 짓되 숯으로 짓고

사치 금지령
- 세상의 습속은 점점 각박해지고 백성들은 다투어 사치와 호화를 일삼고 오로지 외래품의 진귀한 것만을 숭상하고 토산품의 야비한 것을 싫어함

 

 

2. 발해

1) 신분

(1) 지배층

- 구성: 다수의 고구려계(귀족인 고씨) + 일부 말갈계

- 생활: 당의 제도와 문화를 수용 → 빈공과 합격

(2) 피지배층

- 구성: 다수의 말갈계 + 일부 고구려계

발해 사회의 모습
- 백성에는 말갈인이 많고 토인이 적음. 토인이 촌장이 됨
(* 토인: 토착 세력가인 수령)

 

2) 생활

- 촌락: 토착 세력가인 수령

320x100
반응형

'공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고려 후기의 정치  (1) 2023.05.16
[한국사] 고려 전기의 정치  (1) 2023.05.15
[한국사] 고대의 문화  (1) 2023.05.15
[한국사] 고대의 묘제  (0) 2023.05.14
[한국사] 고대의 경제  (0) 2023.05.14
[한국사] 남북국의 정치  (0) 2023.05.14
[한국사] 가야  (0) 2023.05.14
[한국사] 고대 삼국의 정치  (0) 2023.05.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