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 고대의 문화

by 노트 주인 2023. 5. 15.
728x90
320x100

한국사
고대 삼국의 정치 가야 남북국의 정치
고대의 경제 고대의 사회 고대의 묘제
고대의 문화    

 

 

1. 불교

* 삼국 시대

: 불교 전래

  고구려 백제 신라
전래 소수림왕 침류왕 법흥왕 때 공인
전래자     고구려의 묵호자
인물 1) 혜량
- 신라의 승통

2) 혜자
- 일본 쇼토쿠 태자 스승

3) 보덕
- 백제에 전파
1) 겸익
- 시조 성왕

2) 노리사치계
- 일본에 전파

3) 혜총
- 일본 쇼토쿠 태자 스승
1) 혜량
- 진흥왕 때 승통 임명

2) 원광
- 걸사표(진평)
- 세속5계

3) 자장
- 황룡사 9층석탑(선덕)
- 계율종
- 대국통

 

1. 수용 목적

1) 중앙집권화: 진흥왕

- 혜량을 승통(국통)에 임명

- 국통, 주통, 군통으로 교단 정비

 

2) 왕권 강화 (신라)

- 불교 왕명 시대: <삼국유사>의 중고

- 영향: 왕즉불

 

 

2. 수용 주체

- 왕실

- 업설(신라): 왕의 권위 강화

 

 

3. 특징

- 미륵 신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제작

- 호국불교: 백좌강회, 팔관회

- 원광: 세속 5계, 걸사표

- 자장: 황룡사 9층탑 설립 건의(선덕여왕)

호국 불교
1. 백자강회 개최
- 백 개의 보살상, 백 개의 나한상을 모시고, 백 명의 비구승

2. 걸사표
: 원광이 수나라에 군사를 청하는 글
- 제가 대왕의 땅에 살며 대왕의 곡식을 먹고 있으니 어찌 감히 명령을 따르지 않겠습니까

3. 자장의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건의
- 자장법사
- 고구려, 백제 두 나라가 변경을 차례로 침범하는 등 외국의 노략질이 심함. 이것이 백성들의 걱정
- 황룡사, 9층 목탑, 팔관회

 

 

* 신라 중대

: 교종 유행

 

1. 원효

1) 대중화

- 정토종(아미타 신앙) 보급: 내세에서 극락정토에 가고자 염원

- 무애가

 

2) 분파 의식 극복

- 일심 사상

- 화쟁(원융회통) 사상: 서로 다른 견해를 화해 및 회통

원효의 불교 대중화
- 화엄 사상을 쉽게 풀이하여 <무애가>를 짓고
- 나무아미타불을 외게 되었으니

원효의 통합 불교
- 불도는 넓고 탕탕하며 막힘이 없음(무애무방)
- 백가의 설이 옳지 않음이 없고 팔만법문이 모두 이치에 맞는 것

1. 일심 사상
- 대승
- 도를 닦는 자에게 온갖 경계를 모두 없애 '한마음(일심)'으로 되돌아가게 하고자 함

2. 화쟁 사상
- 서로 대립되어 보이는 것도 한 차원 높게 생각하면 서로가 다를 바 없는 하나

 

3) 저술

- <금강삼매경론>: 불교 경전과 교리 종합

- <대승기신론소>: 대승 불교 사상 체계 풀이

- <화엄경소>: 화엄경 주석

 

4) 출신

- 6두품

 

 

2. 의상

1) 불교 대중화

- 아미타 신앙과 관음 신앙(: 현세에서 고난 구제를 염원) 보급

 

2) 화엄종 성립

- 일즉다 다즉일: 모든 존재는 상호 의존 관계에 있으면서 조화를 이룸

- 저술: <화엄일승법계도>

화엄일승법계도
- 하나 안에 일체요 모두 안에 하나
- 하나가 곧 일체요 모두가 곧 하나

 

3) 문무왕의 정치적 자문 담당

 

4) 영향

- 부석사 건립

 

 

3. 기타 승려

1) 원촉

- 유식 불교 연구

 

2) 진표

- 미륵 신앙: 법상종

- (김제) 금산사: 백제 고구려 유민의 지지

 

3) 혜초 (성덕왕)

- <왕오천축국전>: 현재 프랑스 파리 국립도서관에 보관

혜초
- 1월에 구시나국에 이르렀다. 부처가 열반에 든 곳
- 일남(베트남 중부)에는 기러기마저 없으니 누가 소식 전하러 계림으로 날아가리
- 과연 저 파미르 고원을 넘을 수 있을는지

 

 

* 신라 하대

: 선종 유행

 

1. 수용

1) 기원

- 도의 (헌덕왕)

 

2) 주체

- 6두품, 호족

 

 

2. 영향

- 승탑과 탑비 유행

 

 

 

2. 풍수지리설

: 하대

 

1. 수용

- 신라 말기 선종 승려 도선

 

 

2. 영향

- 주장: 경주 중심의 행정 조직을 지방 중심으로 재편성할 것 → 호족 세력의 지지

- 송악 길지설

 

 

 

3. 유학

1. 삼국 시대: 유학의 수용

1) 고구려

- 태학(중앙): 소수림왕, 귀족 자제 관립

- 경당(지방): 평양 천도 이후, 평민 사립, 한학과 무예

 

2) 백제

- 5경 박사

 

3) 신라

- 임신서기석

 

 

2. 신라 중대 : 유학 발달

1) 국학

- 국학(신문왕) → 태학감(경덕왕)

- 교육 담당: 박사와 조교

- 제사: 성덕왕 때, 문묘의 효시

 

2) 학자 (6두품)

- 강수: 외교 문서, 불교 비판(세외교)

- 설총: <화왕계>(신문왕)

설총 화왕계
- "내가 잘못했노라. 내가 잘못했노라." 이에 왕(신문왕)이 얼굴빛을 바로하며 말하였다

 

 

3. 신라 하대

1) 독서3품과 (원성왕)

- 국학의 졸업 시험 성격

 

2) 국학의 중요성 감소

- 도당 유학생(=숙위 학생)

국학 설립(신문왕)
- 주역, 상서, 모시, 예기, 춘추좌씨전, 문선으로 나누어 학업을 닦게 함

 

3) 김운경(헌덕왕)

- 최초로 당의 빈공과 합격

 

4) 최치원 (9c 후반)

- 당의 빈공과

- <토황소격>

- 진성여왕한테 <시무 10여조>

- 현존: <계원필경>, <법장화상전>, 난랑비서문(풍류), 4산 비명(낭혜화상탑비명, 진감선사탑비명, 지증대사탑비명, 대숭복사비명)

- 현존X: <제왕연대력>

 

5) 최언위

- 고려 건국에 참여

 

6) 최승우

- <대견훤기고려왕서>

 

 

4. 발해

- 주자감

- 신라와 등제 서열 사건

 

 

 

4. 역사서와 한문학

1. 역사서

1) 삼국시대

- 고구려: <신집>

- 백제: <서기> (근초고왕)

- 신라: <국사> (진흥왕)

 

2) 통일신라

(1) 중대

- 김대문: 성덕왕 때 진골, <한산기>

(2) 하대

- 최치원: <제왕연대력>

 

 

2. 한자의 보급

1) 고구려

- 광개토대왕릉비

cf) 점제현 신사비(낙랑군)

 

2) 백제

- 사택지적비문(7c, 의자왕)

 

3) 신라

- 포항 중성리 신라비

- 울진 봉평 신라비(법흥왕)

- 임신서기석(유교, 충효)

임신서기석
- 시경, 상서, 예기, 춘추전을 차례로 3년 동안 습득하기로 맹세

 

 

3. 한문학

1) 고구려

- 유리왕의 황조가

 

2) 신라: 향가

(1) 중대

- 효소왕: 모죽지랑가

- 경덕왕: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안민가

(2) 작품집

- <삼대목> (진성여왕)

 

2) 가야

- 구지가

 

 

4. 음악

1) 고구려

- 왕산악: 칠현금 개조 거문고 제작

 

2) 대가야

- 우륵: 가야금 제작, 충주 탄금대

 

 

 

5. 도교

1. 도입

ex) 노자 <도덕경>: 무위자연

 

 

2. 사례

1) 고구려

- 을지문덕이 수나라 우중문에게 보낸 시에서 "지족"

- 연개소문: 승려 보덕이 백제로 망명

- 유물: 사신도

도교 (고구려)
- 오두미교를 신봉
- 도사, 도덕경을 강연하게 함

 

2) 백제

- 산수무늬 벽돌

- 부여 사택지적비

- 백제 금동대향로: 불교 + 도교

도교 (사택지적비문)
- 몸이 해가 가듯 쉽게 가고 달이 가듯 돌아오기 어려움을 슬퍼하여

산수무늬 벽돌 (출처: 네이버 두산백과)

 

3) 신라

- 유물: 최치원의 난랑비 서문(풍류)

 

 

 

6. 과학 기술

1. 천문학

1) 농경과 관련

 

2) 고구려

- 천문도 제작

- 영향: 조선의 '천상열차분야지도'

 

3) 백제

- 관청: 일관부

 

4) 신라

- 통일 전: 첨성대 (선덕여왕)

- 통일 후: 관청인 누각전(성덕왕) → 물시계 관리

 

 

2. 목판 인쇄와 제지술

1) 인쇄술

- 무구정광 대다라니경: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

 

 

3. 공예

1) 신라

- 특징: 토우 제작

* 통일 후

- 상원사 동종(성덕왕): 현존하는 최고의 종

 

 

 

7. 유물과 유적

*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1) 국보 제118호

- 고구려

 

2) 국보 제83호

- 백제

- 불상 양식의 일본 전파

왼쪽: 국보 제83호 / 오른쪽: 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일본(출처: 위키백과)

 

3)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 일본에 존재

- 한반도에 자생하는 적송으로 제작

 

4) 국보 제78호

- 신라

 

 

1. 고구려

1) 호류사 금강 벽화 복원도

- 고구려 승려 담징이 제작

호류사 금당 벽화 복원도 (출처: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2)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 중국 북조의 영향을 받음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출처: 위키백과)

 

3) 장군총

- 돌무지 무덤(고구려 초기 무덤 양식)

 

4) 예불도

- 불교적 색채

 

5) 도성

- 졸본 시대: 평지성 + 산성

- 국내성 시대: 평지성 + 산성(환도성)

- 평양 시대 - 장수왕(5c): 평지성(안학궁성) + 산성

- 평양 시대 - 평원왕(6c, 장안성): 나성 구조(: 궁성과 주변을 두르는 구조), 조방제

 

 

2. 백제

1) 서울 석촌동 고분군

- 계단식 돌무지무덤(초기 무덤, 한성 시대)

- 고구려 지배층과의 관련성

 

2) 무령왕릉 복원도

- 송산리 고분

- 굴식 벽돌무덤

- 지석 존재

- 관은 금송으로 제작(일본에 자생)

- 돌짐승 출토

무령왕릉 유적
- 지석: 백제 사마왕

 

3) 부여 능산리 고분군

- 굴식 돌방무덤

- 사신도

 

4) 양직공도

- 남조의 양나라에 남아 있는 백제 사신 모습

양직공도 (출처: 위키백과)

 

5) 익산 미륵사지 석탑

- 현존 최고의 석탑

- 목탑 양식

익산 미륵사지 석탑 (출처: 위키백과)

 

6)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

- 목탑 양식

- 평제탑: 탑신 4면에 당의 소정방이 백제를 평정한 뒤 새긴 글 존재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 (출처: 위키백과)

 

7)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창왕명 석조사리감)

- 위덕왕(성왕의 아들) 때 제작

 

8) 백제 금동대향로

- 불교 + 도교

금동대향로 (출처: 위키백과)

 

9) 부여 사택지적비

- 의자왕 때 건립

사택지적비 (출처: 위키백과)

 

10) 사비의 주요 문화재

- 부소산성

- 능산리 고분

- 금동대향로, 사택지적비, 정림사지 5층 탑

 

11) 도성

- 한성 시대: 하남 위례성

- 웅진 시대: 공산성

- 사비 시대: 나성

 

 

3. 통일 전 신라

1) 돌무지 덧널무덤의 구조와 부분 명칭

- 봉토, 돌무지, 널, 나무덧널

- 나무덧널, 껴묻거리 상자, 나무널

돌무지 덧널무덤 구조 (출처: 네이버 어린이백과)

 

2)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 말의 배가리개(장니)에 그린 그림

천마도 (출처: 위키백과)

 

3) 토우

- 인물, 동물 조각

 

4) 경주 첨성대

- 왕의 권위를 하늘에 연결

첨성대 (출처: 위키백과)

 

5) 경주 분황사 모전 석탑

- 현존하는 신라 최고의 석탑

 

6) 경주 황룡사 9층 목탑(복원도)

(1) 황룡사

- 진흥왕 때 건립

(2) 9층 목탑

- 선덕여왕 때 건립

- 현존X: 몽골 침략 때 소실

- 자장(호국 불교 전통 확인)

 

7) 도성

- 나성X

- 조방제(: 중국 영향, 좌우에 방리가 바둑판처럼 구획)

- 궁성 + 주변 산성

cf) 문무왕이 도성을 크게 축조하려고 했으나 의상이 반대

 

 

4. 통일 신라

1) 경덕왕

- 석굴암 석굴 본존불

- 석굴암

- 경주 불국사

 

2) 경주 감은사지 동서 3층석탑

- 신문왕

 

3) 경주 불국사 3층 석탑

- 백제 석공 아사달과 아사녀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발굴

 

4)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

- 신라 중대

 

5) 충주 탑평리 7층 석탑(중앙탑)

- 현존 신라 최고 석탑

충주 탑평리 7층석탑 (출처: 위키백과)

 

6) 양양 진전사지 3층 석탑

- 신라 하대

- 기단과 탑신에 부조로 불상 조각

양양 진전사지 3층석탑 (출처: 위키백과)

 

7)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신라 하대

- 8각 원당형

- 고려 승탑

- 호족

 

8) 김생의 글씨

- 왕희지체

 

9) 성덕대왕 신종

- 경덕왕 ~ 혜공왕 제작

cf) 상원사 동종: 현존 최고

 

10) 경주 김유신묘(?)

- 둘레돌에 12지신 조각(도교)

 

 

5. 발해

1) 상경 용천부 평면도

- 주작대로: 당의 영향

- 조방: 당의 도성을 본뜸

 

2) 영광탑

- 발해의 누각식 전탑: 당의 영향

 

3) 정효공주 묘

- 중국 지린성의 용두산 발해 고분군

- 문왕의 넷째 딸

- 벽돌무덤

- 천장: 평행 고임형 천장 구조 (고구려!)

 

4) 연꽃무늬 벽돌

- 고구려 영향

 

5) 도성

- 상경 시대: 주작대로, 조방제

 

6) 발해에 대한 고구려와 당의 영향

(1) 고구려

- 일본에 보낸 국서: 무왕 "고구려 옛 땅 수복, 부여 전통 이음"

- 지배층: 대씨 + 고구려 왕족 고씨

- 문화: 온돌, 굴식 돌방무덤의 모줄임 천장 구조

ex) 정혜공주 묘 (육정산 고분군)

(2) 당

- 상경: 장안성 모방

- 3성 6부제: 독자성은 유지

- 벽돌무덤 ex) 정효공주 묘 - 천장은 고구려

- 전탑인 영광탑

 

 

 

8. 서역과의 교류

1. 고구려

1) 사마르칸트 벽화

- 고구려가 중앙아시아에 파견한 사신

 

2) 씨름도

- 고구려 고분 각저총

- 서역인

 

3) 고선지

- 고구려 유민의 후손

- 서역과 한반도를 왕래 (당의 장수로 서역 원정 단행)

 

 

2. 신라

1) 무인상

- 대식국인을 닮음

- 아랍 상인으로 추정

경주 괘릉 무인상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왕오천축국전 (혜초)

- 프랑스 학자 펠리오가 발견

왕오천축국전 (출처: 위키백과)

 

 

 

9. 일본에의 문화전파

1. 고대 3국: 아스카

*  백제

1) 유학

- 아직기(4c, 근초고왕): 일본 태자에게 한자 가르침

- 왕인(4c)

- 단양이, 고안무(6c, 무령왕): 5경 박사, 유교 경전 전파

 

2) 불교

- 노리사치계(6c, 성왕)

- 관륵(7c, 무왕)

 

3) 영향

- 목탑 축조

- 건축 양식: 백제 가람

- 미륵보살 반가사유상(적송)

- 호류사의 백제 관음상

- 칠지도 전래

 

 

* 고구려

1) 담징

- 종이와 먹 제조법 전수

 

2) 영향

- 강서 수산리 고분 벽화

→ 일본의 다카마쓰 고분 벽화

 

 

* 신라

1) 조선술, 축제술 전수

* 축제술: 제방을 쌓는 기술

 

2) 영향

- '한인의 연못'

 

 

* 가야

1) 토기 문화

→ 영향: 스에키 토기 등장

 

 

* 통일 신라: 하쿠호 문화

1) 불교

- 원효의 사상

 

2) 유교

- 율령과 정치 제도 형성에 기여

 

 

320x100
반응형

'공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중세의 사회  (0) 2023.05.16
[한국사] 중세의 경제  (1) 2023.05.16
[한국사] 고려 후기의 정치  (1) 2023.05.16
[한국사] 고려 전기의 정치  (1) 2023.05.15
[한국사] 고대의 묘제  (0) 2023.05.14
[한국사] 고대의 사회  (1) 2023.05.14
[한국사] 고대의 경제  (0) 2023.05.14
[한국사] 남북국의 정치  (0) 2023.05.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