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 ||
조선 초기의 정치 | 사림과 붕당 정치 | 근세의 경제 |
근세의 사회 | 조선 초기의 문화 | 조선 중기의 문화 |
조선의 대외 관계 |
1. 성리학적 명분론
1. 사림의 인식
사림의 태도
1. 소격서 혁파
- 상단에 노자, 중단에 별들을, 하단에 염라를 제사
- 도사가 임금의 이름을 크게 외치니
2. 소학 보급
- 어린이가 배우는 책
- 어버이를 사랑하고 어른을 공경하며, 스승을 존경하고 벗과 친하게 지내는 도리를 가르침
- 어릴 적에 배우고 익히도록 한 것
- 어린아이들에게 주어서 배우고 익히는 데 도움이 되게 하고자
1) 결과
- 성리학 이외 여타 사상을 이단과 음사로 몰아 배척
ex) 불교의 산간화
2) 신분 정당화
- 보학 연구 + 예학 발달
3) 가족 제도 변화
- 적서 차별
- 남성 중심 가부장적 가족 제도
4) 화이론적 세계관
(1) <기자실기> (이이)
- 기자께서 우리 조선에 들어오시어 백성을 후하게 양육하고 힘써 가르쳐 주시어 오랑캐의 풍습을 변화시켜 문화가 융성하였던 제나라와 노나라 같은 나라로 만들어 주셨음
- 우리 민족의 문화적 기원을 기자에서 확인
(2) 인식
- 기자 중시
→ 소중화 의식 = 존화주의적 인식
2. 성리학의 융성: 16c 이후
1) 이언적: 주리론
- '이' 중심 이론
2) 서경덕: 주기론
- 우주를 무한하고 영원한 '기'로 인식
- 불교와 노장사상에 개방적
3) 조식
- 의를 중시
- 학문의 실천성 강조
(1) 서리망국론
- 서리의 폐단 비판
(2) 왜란 당시 많은 의병장 배출
- 정인홍, 곽재우
4) 발전: 이황 vs 이이
이황 (이 > 기) |
이이 (이 = 기) |
|
이-기의 관계 | 이기이원론 (: 둘은 섞이지 않음) 이존기비 (: 이는 귀하고 기는 천함) |
일원적 이기이원론 (: 분리될 수 없음, 기 속에 이는 내재됨) 이통기국 (: 이는 통하고 기는 국한됨) |
관심 | 도덕적 원리 | 도덕적 원리 + 경험적 현실 세계 |
성격 | 근본적, 이상주의적 | 현실적, 개혁적 |
저서 | <성학십도> (: 성학을 도식으로) <주자서절요> <전습록변> (: 양명학 비판) <이학통록> |
<성학집요> (: 신하가 군주에게 성학을 가르침) <동호문답> (: 수미법 시행) <격몽요결> |
향약 | 예안 향약 | 서원 향약, 해주 향약 |
붕당, 학파 | 남인 → 영남학파 |
서인(노론) → 기호학파 |
영향 | 일본 성리학에 영향 | 조선을 중쇠기로 인식 → 사회 개혁론 제시 |
기타 | 새악 건의 | 한때 불교 귀의 |
이황의 사상
1. 이기에 대한 인식 (이원론)
- 이는 원리적인 것으로 절대적으로 선한 것
- 기는 현상적인 개념으로 선과 악이 섞여 있는 것
이이의 사상
1. 기발이승론
- 이는 작용이 없고 기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기가 발하며 이가 타는 것
2. 이통기국론
- '이'는 통하고 '기'는 국한(이통기국)하는 개념
2. 성학과 예학
1. 성학: 군주의 학문
1) 성학십도
- 도와 해설을 만들어 겨우 열 폭 밖에 되지 않는 종이에 풀어 놓았음
- 도가 이룩되고 성인이 되는 요체와 근본을 바로잡아 나라를 다스리는 근원이 모두 여기에 갖춰져 있사오니, 오직 전하께서는 이에 유의하시어 여러 번 반복하여 공부
- 신이 감히 이러한 그림과 설명을 전하께 드리어 옛 왕들이 음악으로 듣고 그릇에 새겨서 반성했던 뜻을 대신하고자 함
- 이황
- 군주 스스로, 도식O
2) 성학집요
- 그런데도 전하께서는 어찌 뜻을 굳건히 하여 착한 일을 널리 구하지 않습니까
- 이이
- 현명한 신하가 군주에게
- 수신, 제가, 치국평천하
2. 예학
1) 배경
- 양난 이후
2) 윤리서
(1) <이륜행실도>
- 중종
3) 아동서
(1) <동몽수지>
- 중국
(2) <동몽선습>
- 중종, 박세무
(3) <격몽요결>
- 선조, 이이
- 소학 교육 장려
4) 예학서
(1) <가례집람>
- 예학을 조선 현실에 맞게 정리
* 붕당과 학파의 관계
3. 문학, 음악 그리고 문물 정비
1. 문학
1) 특징
- 경학을 중시
2) 가사
- 송순 <면앙정가>
3) 설화
(1) <패관잡기>
- 어숙권, 서얼
- 문벌제도와 적서 차별 비판
4) 소설
(1) <원생몽유록>
- 임제
- 사육신과 단종의 사후 생활 그림
- 은연중에 세조의 왕위 찬탈 비판
2. 음악
- 속악 발달
3. 문물 정비
1) <조선방역지도>
- 명종
- 전국 8도 군현과 병영, 수영 표시
- 만주와 대마도를 우리 영토로 표기
2) <신증동국여지승람>
- 중종
3) <읍지>
- 16c 사림들의 향토 문화에 대한 관심이 반영
4) <고사촬요>
- 어숙권, 명종
- 백과사전 (유서)
4. 과학, 무기
1) 과학기술
- 천시로 침체
2) 비격진천뢰
- 이장손, 선조
- 무기
4. 예술
1. 초충도, 포도도
- 여류 화가(신사임당)에 의한 여성 정서 표현
- 5만원 앞면
2. 묵죽도, 월매도
- 조선 중기의 3절: 이정(대나무), 어몽룡(매화), 황집중(포도)
- 5만원 뒷면
3. 송하보월도
- 노비 출신 화원 이상좌
- 늙은 소나무를 통해 강인한 정신과 굳센 기개 표현
4. 백자 병
- 고려 백자의 전통, 명 백자의 영향
- 깨끗하고 담백한 순백의 고상함 → 선비 취향
'공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근대 태동기의 사회 (1) | 2023.05.20 |
---|---|
[한국사] 근대 태동기의 경제 (1) | 2023.05.19 |
[한국사] 근대 태동기의 정치 (1) | 2023.05.19 |
[한국사] 조선의 대외 관계 (0) | 2023.05.17 |
[한국사] 조선 초기의 문화 (1) | 2023.05.17 |
[한국사] 근세의 사회 (1) | 2023.05.17 |
[한국사] 근세의 경제 (0) | 2023.05.17 |
[한국사] 사림과 붕당 정치 (1) | 2023.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