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 조선 중기의 문화

by 노트 주인 2023. 5. 17.
728x90
320x100

한국사
조선 초기의 정치 사림과 붕당 정치 근세의 경제
근세의 사회 조선 초기의 문화 조선 중기의 문화
조선의 대외 관계    

 

 

1. 성리학적 명분론

1. 사림의 인식

사림의 태도
1. 소격서 혁파
- 상단에 노자, 중단에 별들을, 하단에 염라를 제사
- 도사가 임금의 이름을 크게 외치니

2. 소학 보급
- 어린이가 배우는 책
- 어버이를 사랑하고 어른을 공경하며, 스승을 존경하고 벗과 친하게 지내는 도리를 가르침
- 어릴 적에 배우고 익히도록 한 것
- 어린아이들에게 주어서 배우고 익히는 데 도움이 되게 하고자

1) 결과

- 성리학 이외 여타 사상을 이단과 음사로 몰아 배척

ex) 불교의 산간화

 

2) 신분 정당화

- 보학 연구 + 예학 발달

 

3) 가족 제도 변화

- 적서 차별

- 남성 중심 가부장적 가족 제도

 

4) 화이론적 세계관

(1) <기자실기> (이이)

-  기자께서 우리 조선에 들어오시어 백성을 후하게 양육하고 힘써 가르쳐 주시어 오랑캐의 풍습을 변화시켜 문화가 융성하였던 제나라와 노나라 같은 나라로 만들어 주셨음

- 우리 민족의 문화적 기원을 기자에서 확인

(2) 인식

- 기자 중시

 소중화 의식 = 존화주의적 인식

 

 

 

2. 성리학의 융성: 16c 이후

1) 이언적: 주리론

- '이' 중심 이론

 

2) 서경덕: 주기론

- 우주를 무한하고 영원한 '기'로 인식

- 불교와 노장사상에 개방적

 

3) 조식

- 의를 중시

- 학문의 실천성 강조

(1) 서리망국론

- 서리의 폐단 비판

(2) 왜란 당시 많은 의병장 배출

- 정인홍, 곽재우

 

4) 발전: 이황 vs 이이

  이황
(이 > 기)
이이
(이 = 기)
이-기의 관계 이기이원론
(: 둘은 섞이지 않음)
이존기비
(: 이는 귀하고 기는 천함)
일원적 이기이원론
(: 분리될 수 없음, 기 속에 이는 내재됨)
이통기국
(: 이는 통하고 기는 국한됨)
관심 도덕적 원리 도덕적 원리 + 경험적 현실 세계
성격 근본적, 이상주의적 현실적, 개혁적
저서 <성학십도>
(: 성학을 도식으로)
<주자서절요>
<전습록변>
(: 양명학 비판)
<이학통록>
<성학집요>
(: 신하가 군주에게 성학을 가르침)
<동호문답>
(: 수미법 시행)
<격몽요결>
향약 예안 향약 서원 향약, 해주 향약
붕당, 학파 남인
→ 영남학파
서인(노론)
→ 기호학파
영향 일본 성리학에 영향 조선을 중쇠기로 인식
→ 사회 개혁론 제시
기타 새악 건의 한때 불교 귀의
이황의 사상
1. 이기에 대한 인식 (이원론)
- 이는 원리적인 것으로 절대적으로 선한 것
- 기는 현상적인 개념으로 선과 악이 섞여 있는 것

이이의 사상
1. 기발이승론
- 이는 작용이 없고 기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기가 발하며 이가 타는 것

2. 이통기국론
- '이'는 통하고 '기'는 국한(이통기국)하는 개념

 

 

 

2. 성학과 예학

1. 성학: 군주의 학문

1) 성학십도

- 도와 해설을 만들어 겨우 열 폭 밖에 되지 않는 종이에 풀어 놓았음
- 도가 이룩되고 성인이 되는 요체와 근본을 바로잡아 나라를 다스리는 근원이 모두 여기에 갖춰져 있사오니, 오직 전하께서는 이에 유의하시어 여러 번 반복하여 공부
- 신이 감히 이러한 그림과 설명을 전하께 드리어 옛 왕들이 음악으로 듣고 그릇에 새겨서 반성했던 뜻을 대신하고자 함

- 이황

- 군주 스스로, 도식O

 

2) 성학집요

- 그런데도 전하께서는 어찌 뜻을 굳건히 하여 착한 일을 널리 구하지 않습니까

- 이이

- 현명한 신하가 군주에게

- 수신, 제가, 치국평천하

 

 

2. 예학

1) 배경

- 양난 이후

 

2) 윤리서

(1) <이륜행실도>

- 중종

 

3) 아동서

(1) <동몽수지>

- 중국

(2) <동몽선습>

- 중종, 박세무

(3) <격몽요결>

- 선조, 이이

- 소학 교육 장려

 

4) 예학서

(1) <가례집람>

- 예학을 조선 현실에 맞게 정리

 

 

* 붕당과 학파의 관계

 

 

 

3. 문학, 음악 그리고 문물 정비

1. 문학

1) 특징

- 경학을 중시

 

2) 가사

- 송순 <면앙정가>

 

3) 설화

(1) <패관잡기>

- 어숙권, 서얼

- 문벌제도와 적서 차별 비판

 

4) 소설

(1) <원생몽유록>

- 임제

- 사육신과 단종의 사후 생활 그림

- 은연중에 세조의 왕위 찬탈 비판

 

 

2. 음악

- 속악 발달

 

 

3. 문물 정비

1) <조선방역지도>

- 명종

- 전국 8도 군현과 병영, 수영 표시

- 만주와 대마도를 우리 영토로 표기

 

2) <신증동국여지승람>

- 중종

 

3) <읍지>

- 16c 사림들의 향토 문화에 대한 관심이 반영

 

4) <고사촬요>

- 어숙권, 명종

- 백과사전 (유서)

 

 

4. 과학, 무기

1) 과학기술

- 천시로 침체

 

2) 비격진천뢰

- 이장손, 선조

- 무기

 

 

 

4. 예술

1. 초충도, 포도도

- 여류 화가(신사임당)에 의한 여성 정서 표현

- 5만원 앞면

 

 

2. 묵죽도, 월매도

- 조선 중기의 3절: 이정(대나무), 어몽룡(매화), 황집중(포도)

- 5만원 뒷면

 

 

3. 송하보월도

- 노비 출신 화원 이상좌

- 늙은 소나무를 통해 강인한 정신과 굳센 기개 표현

송하보월도 (출처: 네이버 미술백과)

 

 

4. 백자 병

- 고려 백자의 전통, 명 백자의 영향

- 깨끗하고 담백한 순백의 고상함 → 선비 취향

백자 병 (출처: 위키백과)

320x10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