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 ||
근대 태동기의 정치 | 근대 태동기의 경제 | 근대 태동기의 사회 |
근대 태동기의 문화 | 탑과 불상 | 금석문 |
유네스코 지정 문화 유산 |
1. 통치 제도의 변화
1. 군사 제도
1) 중앙군 (5군영)
(1) 훈련도감
- 설치: 임진왜란(선조) 중 명의 병법서 <기효신서>
- 삼수병, 직업 군인
- 변질: 면포와 수공업 제품을 행상으로 판매 → 난전
훈련도감 설치
- 칼과 창을 익히기도 하고 활을 익히기도 하고 포를 쏘기도 하여
- 당속미 1,000석을 군량으로 하되 한 사람당 하루에 2승씩 준다 하여 군인을 모집하면 응하는 이가 사방에서 모여들 것
- 조총 쏘는 법과 창칼 쓰는 기술을 가르치고
- 비변사
- 포수들을 교련
- 활 쏘는 법
(2) 어영청
- 인조 때
- 서인 정권의 군사적 기반
- 이괄의 난 당시 인조를 공주로 호송
(3) 총융청
- 인조 때
- 북한산성 및 경기 북부 수비
(4) 수어청
- 인조 때
- 남한산성 및 경기 남부 수비
(5) 금위영
- 숙종
2) 지방군 (속오군)
- 설치: 임진왜란 중 명의 병법서 <기효신서>
- 양천 혼성군
속오군 설치
- 내수사 노비 중에서 3분의 1을 뽑아 이 군대에 충당
- 천인뿐만 아니라 양반, 유생, 아전의 무리로서 토목의 역사를 견디지 못하는 자까지도 섞여 있음
- 지금 속오군이라는 것은 사노 등 천인들로 구차하게 숫자만을 채웠으며, 어린아이와 늙은이들로 대오를 편성
* 지방 방어 체제 변화
- 영진군 (진관 → 제승방략)
→ 속오군 (진관)
2. 정치 구조
1) 비변사
(1) 첫 설치
- 삼포왜란 계기, 왜구와 여진족 침입 대비
- 중종
(2) 상설기구화
- 명종, 을미왜변
(3) 기능 강화
- 임진왜란
- 5조의 판서와 참판(공조 제외)도 참여
- 의정부와 6조 기능 약화 → 왕권 약화
- 세도 정치의 중심 기구
비변사의 기능 강화
- 변방 방비에 대한 긴급한 일 등이 있을 때 대신과 변방을 잘 아는 재신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계책을 세우기 위하여 설치한 것
- 8도와 6조의 공사가 거의 비변사로 들어감
비변사의 폐해
- 이 기구가 큰 일이건 작은 일이건 모두 취급
- 의정부는 한갓 겉이름만 지니고 6조는 할 일을 모두 빼앗기고 말았음
(4) 축소 → 폐지
- 흥선대원군의 개혁
2) 3사, 전랑
(1) 3사의 변질
- 자기 붕당의 이해만 대변 → 정치적 비중 감소
(2) 혁파
- 2품 이상 고위직만이 정치적 기능 수행
- 나머지는 단순 행정 담당
3. 향촌 지배
- 사족의 향촌 지배
→ 수령과 향리 중심의 지배 체제
2. 정쟁의 격화와 붕당 정치의 변질
1. 배경
- 사족 중심의 지배 체제 붕괴
- 상업적 이익에 대한 관심 고조
2. 과정
- 계속된 환국의 발생
3. 결과
- 일당 전제화
3. 탕평 정치
1. 숙종
- 명목상의 탕평론 (국왕 스스로 편파적 인사 정책 시행)
- 성상께서는 이쪽이 낫다고 생각되면 이쪽만을 등용
- 저쪽이 낫다고 생각되면 다시 저쪽만을 등용
- 한쪽을 너무 미워하다가 지난날 붕당의 피해를 보게 되었는데, 또 한쪽이 둘로 갈라져 오직 붕당을 두둔하는 것만 능사로 여기고
1) 정치
(1) 환국
- 기사환국: 송시열 사망
- 갑술환국: 무고의 옥 (신사환국; 장희빈 사사, 용서 주장하는 소론 처벌)
(2) 서인의 분당
- 노론: 송시열 추종 → 이이 학문 계승
- 소론: 윤증 추종 → 성혼 학문 계승
2) 군사
- 금위영
3) 외교
- 2차 북벌 운동
4) 경제
- 대동법 전국 실시
- 양역이정청 설치
- 상평통보의 전국 유통
5) 사회
- 장길산의 난 (승려 운부, 서얼 이영창과 함께 서울 공격도 계획)
6) 문화
- 노산군 묘호를 단종으로 추승
- 강감찬 사당 건립
cf) 대보단 건립
2. 영조
- 완론 탕평
- 조신들이 서로 공격하니 공론이 막히고, 역당으로 지목하게 되니 선악을 분변할 수가 없음
- 인물을 전형하고 선발하여 관직을 제수함에 4당 출신을 골고루 등용
- 각 당이 협의하여 비록 그 의론이 각각 다르더라도 서로 해치는 것에는 이르지 않았고, 다만 서로 혼인만 하지 않았을 뿐
한계
- 서로 역적이란 이름으로 모함
- 국왕, 붕당을 없애자는 논의에 동의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정국 운영
- 이조 전랑이 삼사의 관리를 선발할 수 있게 하던 관행마저 없애버림
- 사색이 모두 진출하여 오직 벼슬만 할 뿐, 예부터 저마다 지켜온 의리는 쓸모없는 물건처럼 되었고, 사문(: 유학)을 위한 시비와 국가에 대한 충역은 모두 과거의 일로 돌려버림
1) 초기의 정치
- 한계: 이인좌의 난 (청주성에서 봉기)
2) 완론 탕평
- 탕평파 중심으로 운영
(1) 붕당의 기반 약화
- 산림의 존재 인정X
- 산림이 또 하나의 세력을 이루고 있어 만약 근원을 없애지 않으면
- 서원 대폭 정리
- 사사로이 건립한 서원과 서우는 모두 철거하도록
- 이조전랑의 권한 약화(: 자신의 후임자 추천권, 3사 관리의 선발권X)
- 이조 전랑이 후임자를 천거하는 관례를 혁파
(2) 한계
- 미봉책
* 사도세자의 죽음(= 임오화변)
- 벽파: 노론 대다수
- 시파: 남인 + 노론(안동 김씨)과 소론 일부
3) 체제 정비
- 법률: <속대전> 편찬
- 군영 정비: <수성 윤음> 발표 → 3군문(훈련도감, 어영청, 금위영)
- <속병장도설>
4) 경제
- 균역법 시행
- 정포를 고루 줄이신 은혜
- 청계천 준설 사업
5) 사회
- 노비종모법 확정
- 삼심제 운영 (사형수)
- 혹독한 형벌을 없애라는 명을 내리시니
- 신문고 부활
- <속오례의>
6) 문화
- <동국대지도> (정상기의 동국지도 바탕)
- <증수무원록>(=무원록): 법의학서
- <동국문헌비고>: 한국학 백과사전
* 경종
- 신임사화 발생
3. 정조
- 준론 탕평 (= 적극적 탕평)
- 훈계하여 경고하고 가르치어 깨우침으로써 그 직분을 삼가 받들게 하면 이것이 곧 황극의 도
- 당이 어디에 존재하겠는가
- 행차 때면 길에 나온 백성들을 불러 직접 의견을 들었음
- 척신 세력을 제거
- 학문을 장려
- '탕탕평평실'이라는 편액을 달았음
- 하나의 달빛이 땅위의 모든 강물에 비치니 강물은 세상 사람들이요, 달은 태극이며 그 태극은 바로 나다
1) 준론 탕평
- 각 붕당의 주장이 옳은지 그른지 명백히 가려내어 반영
- 능력 있는 사람 중용
- 탕평파 비판, 척신과 환관 제거
- 소론과 남인 계열(→ 시파) 중용
ex) 채제공
2) 정치
- 규장각: 왕실 도서관 + 비서실, 문한, 과거 주관, 문신 교육
- 선왕의 문장과 한묵(: 글을 짓거나 쓰는 것)을 받들고, 다른 서적들도 저장
- 여러 대 선왕들의 어제를 모두 모으고
- 내가 어진(왕의 초상화) 1본을 모사하려 함
- 도서집성 5천여 권을 연경의 시장에서 사오고, 또 옛날 홍문관에 간직했던 책과 강화부 행궁에 소장했던 책과 명에서 보내온 책들을 모았음
- 초계문신제: 국왕이 능력 있는 자 재교육
- 장용영: 친위 부대 (왕권 강화)
- <대전통편>
cf) 이조전랑의 후임자 추천권 완전 폐지
3) 경제
- 육의전 제외한 금난전권 폐지(= 신해통공)
- 공장안 폐지
4) 사회
- 서얼을 규장각 검서관으로 중용
ex) 박제가, 유득공, 이덕무
- 상민: 격쟁
- 공노비 해방 시도
5) 사상
- 서학: 신해 박해(=윤지충 사건)
: 온건 정책
- 오늘날 사설의 폐단을 바로 잡는 길은 더욱 정학을 밝히는 길밖에
- 전 현감 이승훈을 예산현으로 귀양
- 유학: 문체반정
- 근래 선비들의 취향이 점점 저하되어 문풍도 날로 비속해짐
- 패관소품의 문체를 사람들이 모두 모방하여 경전 가운데 늘상 접하여 빠뜨릴 수 없는 의미들은 소용없는 것으로 전락
6) 문화
- 실학과 국학 연구
- 한강 주교 건립
- 풍속화 유행
7) 서적
- <고금도서집성> 수입 (중국 백과사전)
- <동문휘고>: 외교 문서
- <추관지>: 형조 소관 사무
- <탁지지>: 호조 소관 사무
- <무예도보통지>: 24반 무예 정리
- 기창 등 4가지 기예를 더 넣고 또 격구, 마상재를 덧붙여 모두 24가지 기예가 되었는데
- 검서관 이덕무, 박제가에게 명하여
- <해동농서>
- <홍재전서>: 문집
8) 화성 건립
- 사도세자 묘의 이장
- 수리 시설 정비 → 국영 농장(대유둔전) 설치
- 한양 주변 4유수부 체제 구축
- 화성 행차 (왕권 강화)
- 현륭원에 나아가 참배하는 예식
4. 세도 정치
- 임금이 외척에게 농락
- 늙은 왕비가 문발을 걷고 정사를 돌려보내고 어린 아이가 왕이라 일컬음
- 박종경은 과연 어떤 인물이기에 관직을 홀로 거머쥐고, 맑고 화려한 관직들을 주무르기를 내가 아니면 아무도 안된다고 하며, 일이 권한에 관계된 것이면 자기 물건으로 여기고, 사방에 근거하여 한 몸으로 모두 담당
: 순조(안동 김씨) → 헌종(풍양 조씨) → 철종(안동 김씨)
1. 특징
1) 정치
- 대립 구도 소멸
- 유력 가문 주도: 왕실 외척, 산림, 관료 가문
2) 주요 기구
- 비변사: 의정부, 6조 유명무실화
- 훈련도감: 군영 장악
→ 중앙 관인과 재지사족 사이 경향 연계 단절
3) 폐단
- 지금 과장의 폐단은 고시, 정식 외에 또 있음
- 세력을 휘두르는 대여섯 집안
재상자리 대감자리 모두 다 차지하고
관찰사 절제사도 완전히 차지하네
- 오로지 각 고을에서 보내오는 뇌물의 많고 적음과 좋고 나쁨만에 관심을 가지고
- 매관매직 자행
- 수령이 백성 수탈 → 극심한 3정 문란(전정, 군정, 환곡)
- 계속되는 자연재해, 기근과 질병
- 이양선 출몰
- 예언 사상: 정감록, 미륵신앙
- 서학의 교세 확장, 동학 등장
2. 내용
1) 순조
- 벽파 주도: 신유박해 → 황사영 백서 사건
- 시파 주도
cf) 효명세자의 대리청정
- 공노비 해방, 홍경래의 난
홍경래의 난
- 지난번 가산의 토적이 변란을 일으켜 청천강 이북의 수 많은 생령이 도탄에 빠지고 어육이 되었음
2) 철종
- 단성, 진주민란 → 1862년 임술농민봉기
vs 안핵사 파견(박규수), 3정이정청 설치
'공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탑과 불상 (0) | 2023.05.22 |
---|---|
[한국사] 근대 태동기의 문화 (1) | 2023.05.20 |
[한국사] 근대 태동기의 사회 (1) | 2023.05.20 |
[한국사] 근대 태동기의 경제 (1) | 2023.05.19 |
[한국사] 조선의 대외 관계 (0) | 2023.05.17 |
[한국사] 조선 중기의 문화 (0) | 2023.05.17 |
[한국사] 조선 초기의 문화 (1) | 2023.05.17 |
[한국사] 근세의 사회 (1) | 2023.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