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 ||
근대 태동기의 정치 | 근대 태동기의 경제 | 근대 태동기의 사회 |
근대 태동기의 문화 | 탑과 불상 | 금석문 |
유네스코 지정 문화 유산 |
1. 세계 유산
1. 해인사 장경판전
1) 건립 연대 (추정)
- 조선 초기 성종
2) 기능
- 팔만대장경(재조대장경) 보관
2. 종묘
1) 정의
- 조선 역대 왕, 왕비와 추존 왕, 왕비의 신주를 모신 사당
- 연산군, 광해군 제외
2) 구조
- 주요 건물: 정전, 영년전
- 기타: 공신당, 칠사당, 공민왕 신당(별당) 등
3) 특징
- 종묘 제례악
3. 불국사, 석굴암
1) 제작
- 신라 경덕왕(중대) 때 재상인 김대성
2) 불국사
- 대웅전
- 극락전
- 비로전
- 관음전, 무설전
3) 석굴암
- 전생의 부모를 위해 석불사 건립
cf) 현생의 부모: 불국사
- 호국 불교
4. 창덕궁
1) 주요 건물
- 정전, 편전, 침전, 후원(비원)
- 정조 관련 건물: 주합루, 존덕정
2) 기타 건물
- 낙선재(헌종), 선원전, 대보단(숙종)
3) 연혁
- 태종 때 창건되어 가장 오랜 기간 왕들이 거처한 곳
- 일제 강점기에 순종이 여생을 보낸 곳
- 임란 이후 훼손과 중건 반복
- 영조 때 임오화변(사도세자의 죽음) 발생
- 갑신정변 당시 청군 vs 일본군
5. 수원 화성
1) 건축
- 화산에 융릉(사도세자의 묘) 조성하면서 건축
- 채제공이 총괄
2) 과정
- 외축내탁, 전석교축
- 동서양의 기술 활용
3) 구조
- 4개 성문 + 행궁
- 성곽 도시
- 한계: 전쟁, 반란으로 인한 화재로 소실
4) 기록물
- <화성성역의궤>
6. 경주 역사 유적지구
1) 남산 지구
- 배동석조여래삼존입상
- 나정(박혁거세 탄생지)
- 포석정
2) 월성 지구
- 월성(신라 왕궁 터)
- 첨성대
- 계림(김알지 출생지)
3) 대릉원 지구
- 황남대총
- 천마총
4) 황룡사 지구
- 황룡사지
- 분황사지(모전석탑)
5) 산성 지구
- 명활산성
7. 고인돌 유적
- 청동기 시대의 무덤
1) 유적지
- 강화도: 국내 최대 고인돌 존재
- 고창: 가장 많은 고인돌 존재
- 화순: 축조 과정을 보여주는 채석장 발견
8. 조선 왕릉
1) 내용
- 존재(44기)
- 등재(49개): 폐위된 왕(연산, 광해군) 2기, 북한 지역 2기
2) 구조
- 진입 공간-제례 공간-전이 공간-능침 공간
3) 변화
- 회격 무덤: 광릉(세조)
- 황제릉 양식: 홍릉(고종, 고종비), 유릉(순종, 순종비)
9. 한국의 역사 마을
1) 양동마을 (경주 월성)
- 월성 손씨(종가: 서백당) + 여강 이씨(종가: 무첨당)
2) 하회마을 (안동)
- 풍산 류씨의 집성촌, 병산 서원(유성룡)
10. 남한산성
1) 연혁
- 신라 문무왕 (주장성 건립) → 조선 인조 (병자호란 때 몽진)
2) 구조
- 행궁 + 좌전 + 우실
- 유사시 임시 수도의 기능 담당
3) 수비
- 총융청 → 수어청
11. 백제 역사 유적 지구
1) 공주
- 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6호분(사신도 벽화) + 7호분(무령왕릉 → 남조 영향)
2) 부여
- 관북리 유적과 부소산성: 사비 방어, 평상시 비원으로 사용
- 정림사지: 북위의 영향, 5층 석탑
- 나성
3) 익산
- 왕궁리 유적
- 미륵사지: 석탑(현존 최고의 석탑, 목탑 양식)
12. 한국의 전통사찰
1) 통도사
- 창건: 자장 (신라 선덕여왕)
- 3보 사찰
- 최초로 대장경 봉안
2) 부석사
- 창건: 의상 (신라 문무왕)
- 무량수전: 주심포 양식의 팔작지붕
- 소조여래좌상
- 조사당 벽화
3) 봉정사
- 창건: 의상 (신라 신문왕)
- 극락전: 현존 최고의 목조 건물, 주심포 양식의 맞배지붕
4) 법주사
- 의신 (신라 진흥왕)
- 대웅보전: 3대 불전, 다포 양식의 팔작지붕
- 팔상전
- 쌍사자 석등
5) 마곡사
- 창건: 자장 (신라 선덕여왕)
- 대광명전: 김구의 향나무 식수
- 영산전
6) 선암사
- 창건: 아도화상(신라 진흥왕) or 도선(신라 헌강왕)
- 대복전
7) 대흥사
- 창건: 신라 정관존자(구이신왕) or 아도화상(신라 진흥왕) or 도선
- 고승의 거처
- 편액
13. 한국의 서원
1) 기원
- 백운동 서원: 주세붕의 안향 배향, 중종
→ 소수 서원: 이황의 건의, 명종의 사액
2) 위기
- 영조, 고종
3) 구조
- 기본: 사당 + 강당 + 동재와 서재
- 기타: 장판고, 서고, 제기고, 고사, 누각
3) 서원들
- 소수 서원 (경북 영주)
- 남계 서원 (경남 함양)
- 옥산 서원 (경북 경주)
- 도산 서원 (경북 안동)
- 필암 서원 (전남 장성)
- 도동 서원 (대구 달성)
- 병산 서원 (경북 안동)
- 무성 서원 (전북 정읍)
- 돈암 서원 (충남 논산)
2. 세계 기록 유산
1. 훈민정음 해례본
1) 제작
- 집현전 학사
2) 내용
- 한글 창제 목적과 원리를 설명한 한문 해설서
2. 조선왕조실록
1) 정의
- 실록청 주도
- 태조 ~ 철종 25대 472년을 편년체로 서술한 역사 기록
→ 고종, 순종 실록은 제외
- 예외: 일기(연산군, 광해군)
2) 자료
- 시정기, 사초
- 조보,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3) 과정
- 왕 사후 제작
- 국왕의 열람 금지
4) 보관
- 춘추관
- 사고 설치
3. 승정원 일기
1) 제작
- 국정의 중요 사항과 업무를 일지 형식으로 작성
2) 별칭
- 승선원일기, 궁내부일기, 비서감일기, 비서원일기, 규장각일기
3) 특징
- 실록과 달리 국왕과 신하가 열람 가능
- 세계 최대의 연대 기록물
4. 직지심체요절
1) 제작 (고려 우왕)
-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
2) 보관
- 프랑스 국립도서관
5. 조선왕조의궤
1) 정의
- 왕실, 국가의 의식, 행사에 대한 준비, 실행, 마무리 등 전 과정을 기록한 책
2) 사례
- 가례도감 의궤
- 외규장각 의궤
6.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1) 내용
- 구성: 국가 제작판(대장경판) + 사찰 제작판(제경판)
- 내용: 경 + 율 + 논
2) 제작
- 최우 참여
- 수기의 교정
→ 대장도감 주도
7. 동의보감
1) 제작
- 허준 주도
- 선조 시작 → 광해군 완성
2) 구성
- 내경편(내과) + 외형편(외과) + 잡병편(유행병, 급성병, 부인과, 소아과) + 탕액편 + 침구편 + 목차편
3) 의의
- 동아시아 의학 서적 1000여 권을 집대성한 의학 백과사전
- 세계 최초의 공중 보건서
3) 특징
- 초간본이 세계 기록 유산에 등재
- 중국과 일본에서도 간행
8. 일성록
1) 정의
- 1760(영조 36년)~1910년까지의 국정 전반을 기록한 왕이 일기
2) 내용
- 존현각 일기
- 신하의 상소문, 외교 문서도 기록
9. 5 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
1) 관련 공공기관이 생산한 문서
2) 운동 기간
- 단체 문서
- 개인 일기와 증언 테이프
- 기자의 취재 수첩
3) 운동 후
-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을 위한 자료
- 미 국무성, 국방부, 대사관 전문
10. 새마을운동 기록물
- 1970~1979년까지의 새마을 운동 관련 자료
11. 난중일기
1) 시기
- 임진왜란 발발 이후부터 노량 해전까지
2) 특징
- 이순신이 직접 쓴 친필일기
- 전장 기록물
3) 내용
- 전투 상황 기록
- 당시 기후와 지형
- 서민의 삶 기록
12. 한국의 유교책판
1) 정의
- 조선 718종의 서책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책판
2) 내용
- 유교 공동체 기록
13. KBS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1) 기간
- 1983년 6월 30일 ~ 11월 14일 (138일)
2) 내용
- 한국방송공사(KBS)의 이산가족찾기 운동과 관련된 영상물, 사진 등의 기록물
14.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1) 정의
- 국채보상운동(1907~1910)의 전 과정을 보여주는 기록물
2) 영향
- 중국, 멕시코, 베트남의 국채보상운동에 영향
- 한국의 외환위기 당시 금 모으기 운동으로 발전
15.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 17~19c 한일 간 평화 구축과 문화 교류의 역사
1) 정의
- 12회에 걸쳐 일본으로 파견되었던 외교사절단에 관한 기록
2) 파견
- 목적: 막부 장군 습직 축하 + 교린 관계
3) 한국측 자료
- 문서: 통신사등록, 변례집요
- 사절단 일행의 기행문, 일기
- 서화: 수행 화가 작품
16.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1) 어보
- 금, 은, 옥으로 만든 왕실의 의례용 도장
- 왕과 왕후의 덕을 기리는 칭호를 올릴 때 제작
- 왕비, 세자, 세자빈을 책봉할 때 제작
2) 어책
- 세자, 세자빈 책봉과 직위가 하사될 때 만든 교서
- 교명
- 옥책, 죽책
- 금책
- 왕실 구성원으로 정통성 확인
3. 세계 무형 유산
1. 종묘 제례 및 종묘 제례악
2. 판소리
1) 종류
- 서편제: 전라도 서남
- 동편제: 전라도 동북
- 중고제: 경기, 충청
2) 구성
- 소리, 아니리, 발림
3) 변화
- 12마당 → 6마당
- 5마당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
3. 강릉 단오제
4. 남사당 놀이
5. 영산재
6. 강강술래
7.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8. 처용무
9. 가곡
10. 대목장
11. 매사냥
12. 줄타기
13. 택견
14. 한산모시짜기
15. 아리랑
16. 김장문화
17. 농악
18. 줄다리기
19. 제주 해녀문화
20. 씨름
21. 연등회
* 세계 자연 유산
1.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 한라산
- 성산일출봉
- 거름오름 용암 동굴계
'공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국권 피탈과 수호 운동 (2) | 2023.05.23 |
---|---|
[한국사] 근대 국가 수립 운동 (0) | 2023.05.23 |
[한국사] 근대와 개화 (0) | 2023.05.22 |
[한국사] 근대와 외세 (0) | 2023.05.22 |
[한국사] 금석문 (0) | 2023.05.22 |
[한국사] 탑과 불상 (0) | 2023.05.22 |
[한국사] 근대 태동기의 문화 (1) | 2023.05.20 |
[한국사] 근대 태동기의 사회 (1) | 2023.05.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