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 탑과 불상

by 노트 주인 2023. 5. 22.
728x90
320x100

한국사
근대 태동기의 정치 근대 태동기의 경제 근대 태동기의 사회
근대 태동기의 문화 탑과 불상 금석문
유네스코 지정 문화 유산    

 

 

1. 삼국시대

- 불상: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 고구려

1. 탑

- 주로 목탑 제작

- 현존X

 

 

2. 불상

1)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 중국 북조의 영향

- 인상과 미소: 고구려의 독자성

 

 

* 백제

1. 탑

1) 익산 미륵사지 석탑

- 현존 최고의 석탑 + 목탑 양식

 

2)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 수학적 지식 활용

- 평제탑

 

 

2. 불상

1)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 삼존상

- 백제의 미소

 

 

* 신라

1. 탑

1)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 선덕여왕

- 원효

 

2) 경주 황룡사 9층 목탑(복원도)

- 선덕여왕

- 현존X

- 자장: 호국불교

 

 

2. 불상

1) 경주 배동 석조 여래 삼존입상

- 푸근한 자태, 부드럽고 은은한 미소

- 경주 역시 지구: 남산 지구

 

 

 

2. 남북국 시대

* 통일 신라

1. 탑

- 삼국 시대의 목탑, 전탑 양식 계승

- 이중 기단 위에 3층을 쌓는 전형적 석탑 양식 완성

 

1)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2. 불상

1) 석굴암 석굴 본존불

- 수학적 지식 활용

- 균형 잡힌 몸매, 사실적 조각

 

 

* 신라 중대

1. 탑

1) 경주 감은사지 동서 3층 석탑

- 삼국 통일 기상 반영

 

2) 구례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

- 사자탑

 

3) 경주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

- 무구정광 대다라니경 발굴

 

4) 경주 불국사 다보탑

- 귀족 예술

 

5) 경주 고선사지 3층 석탑

 

 

* 신라 하대

1. 탑

- 지방 호족의 정치적 성장 반영

1) 양양 진전사지 3층 석탑

- 부조로 불상 조각

 

2) 경주 원원사지 동서 3층 석탑

- 기단: 12지신상

- 탑신: 사천왕상

 

3)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탑신: 팔각 원당형

- 지방 호족의 역량

- 고려 승탑에 영향

 

4) 충주 탑평리 7층 석탑 (중앙탑)

- 현존 신라 최고 석탑

 

5)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선종

- 비문: 최치원

 

 

2. 불상

- 사실과 균형감 저하

- 다양한 표정

 

1)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 철원

 

2) 동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대구

 

 

* 발해

1. 탑

1) 석등

- 웅대한 느낌

 

2) 영광탑

- 당의 영향

 

 

2. 불상

1) 이불병좌상

- 동경

- 고구려 영향

 

 

 

3. 고려 시대

1. 탑

- 신라 양식 + 독자적 조형미

- 다각 다층탑 많음

- 자연스러운 미

- 받침의 보편화

- 고대 삼국의 전통을 계승한 석탑 조성

 

1) 개성 불일사 5층 석탑

- 고려 초기

- 고구려 탑 양식 계승

 

2) 부여 무량사 5층 석탑

- 고려 초기

- 백제 탑 양식 계승 (정림사지 5층탑)

 

3) 여주 고달사지 승탑

- 고려 초기

- 신라 양식 계승한 팔각 원당형

 

4) 개성 현화사 7층석탑

- 고려 현종

- 탑신의 각 면에 불상 조각

 

5) 평창 월정사 8각 9층 석탑

- 고려 전기

- 다각 다층 석탑

- 자연스러운 미

 

6)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 고려 중기

- 평면사각형 탑신

- 국권 침탈 후 일본에 반출되었다가 광복 이후 반환

 

7) 충주 정토사지 흥법국사 탑

- 고려 중기

- 원구형 탑신

 

8) 개경 경천사지 10층 석탑

- 고려 후기 (충목왕)

- 원의 영향

- 조선의 원각사지 10층 석탑에 영향

- 일본에 반출되었다가 반환

 

9)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

- 고려 말기

- 높은 기단 + 종 모양 탑신

 

 

2. 불상

1) 3가지

(1)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2)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 입상

(3)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 입상

- 자유분방한 미

- 대형 석불 (나말여초 시기)

- 지역적 특색 반영

 

2) 하남 하사창동 철조 석가여래 좌상

- 호족 세력 참여

- 나말여초 시기

 

3) 영주 부석사 소조 여래 좌상

- 신라 전통 양식 계승

 

 

 

4. 조선 시대

1. 탑

1) 서울 원각사지 10층 석탑

- 조선 초기 (세조)

- 왕실 비호를 받은 불교 관련 예술품

 

2) 보은 법주사 팔상전

- 조선 후기

- 현존 유일의 목탑 (5층)

- 불교의 상대적 지위 향상

보은 법주사 팔상전 (출처: 위키백과)

320x10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