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 중세의 문화

by 노트 주인 2023. 5. 16.
728x90
320x100

한국사
고려 전기의 정치 고려 후기의 정치 중세의 경제
중세의 사회 중세의 문화  

 

 

1. 유학의 발달

1. 초기: 호족 집권기

1) 학자

(1) 최언위

- 태조

- 신라 6두품 출신 유학자

(2) 최승로

- 성종

- 시무 28조

- 유교-불교 보안적 관계

- 유교 사상을 치국의 근본

- 사회 개혁

 

2) 성격

- 자주적, 주체적

 

3) 문한 기구

- 비서성과 수서원: 성종, 도서관

 

 

2. 중기: 문벌귀족 집권기

1) 학자

(1) 최충

- 문종

- 훈고학적 유학에 철학적 경향

- 해동공자

- 사학: 9재 학당(= 문헌공도)

 

(2) 이자겸, 김부식

- 예종, 인종

 

2) 특징

- 사대적, 보수적, 현실적

 

3) 문한 기구

- 보문각: 경연과 장서 담당, 예종

 

 

3. 무신 집권기

1) 서방 설치

 

2) 이규보

- 호: 백운

- 유교, 불교, 도교, 민간 신앙 포용

 

 

4. 권문세족 집권기: 성리학 전래

1) 안향

- 충렬왕

- 성리학을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

- 문묘 정비

 

2) 이제현

- 충선왕

- 만권당

- 호: 역옹

 

3) 정몽주

- 공민왕, 우왕

- 동방학의 원조

 

4) 특징

- 일상생활과 관계 되는 실천적 기능 강조

- <주자가례> 중시

- 가묘(=사당) 설립

 

 

2. 교육 기관

1. 초기: 교육 기관 설립

1) 중앙

- 국자감

(1) 유학부

- 국자학, 태학, 사문학(7품 이상)

(2) 기술학부

- 율학, 서학, 산학

 

 

2. 중기: 문벌 귀족 집권기

1) 사학

- 12도 융성

ex) 최충의 9재 학당

- 좌주(=종백, 과거 주재)와 문생(과거 합격) 관계 강화

사학의 발달
1. 배경 → 좌주와 문생 관계
- 과거를 맡아 합격자를 선발하는 시험관, 좌주라고도 함

2. 9재 학당의 발달
- 9재
- 시중 최공도

 

2) 관학 진흥

- 숙종: 서적포 설치

- 예종: 국자감에 7재(전문 강좌), 양현고(장학재단) 설치

- 인종: 7재 → 경사 6학

중기 관학 진흥책
- 7재
- 국자감에 서적포를 두어

 

 

3. 후기: 원 간섭기 → 관학 부흥 시도

1) 충렬왕

- 국자감: 국학 → 성균관

- 성균관에 문묘(공자 사당) 건립

 

2) 공민왕

- 성균관의 기술학부 폐지

→ 순수 유학 기관

후기 관학의 부흥
- 6품 이상은 각각 은 한 근을 내고 7품 이하는 포를 차등 있게 내도록
- 양현고에 돌려 본전은 두고 이자만을 취해 섬학전으로 삼자
- 이색
- 성균관을 다시 짓고 이색을 판개성부사 겸 성균관 대사성으로 삼음

 

 

3. 사서의 변화

1. 초기: 호족 집권기

1) <7대 실록>

- 현종~덕종 때

- 편년체

- 고구려 계승 의식

 

 

2. 중기: 문벌 귀족 집권기

1) <삼국사기>

- 인종 때, 김부식 등

- 구 삼국사 바탕

- 현존하는 최고의 사서

- 기전체

- 합리적 유교 사관

- 신화, 전설, 민담 배제

- 신라 계승 의식

삼국사기
1. 올리는 글
- 군주의 착하고 악함, 신하의 충성됨과 사특함, 나랏일의 안전함과 위태로움, 백성의 다스려짐과 어지러움을 모두 펴서 드러내어 권하거나 징계할 수 없음
- 해동의 3국
- 본기 28권, 연표 3권, 지 9권, 열전 10권

 

2) <편년통록>

- 의종 때

- 태조 왕건에 대한 세계를 상세하게 서술

 

 

3. 무신 집권기 (대몽항쟁 이전)

1) <동명왕편>

- 명종 때 이규보

- 영사체

- 고구려 계승 의식

cf) <삼국사기>의 신라 계승 의식 비판

동명왕편
- 동명왕의 사적은 변화, 신이하여 사람의 눈을 현혹시키는 것이 아니라, 실로 나라를 창시한 신의 자취인 것
- 동명왕 본기를 보니 그 신이한 사적이 세상에 이야기되고 있던 바, 보다 더 자세함
- 시를 지어

 

2) <해동고승전>

- 고종 때 각훈

- 삼국 ~ 고려의 승려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

 

 

4. 권문세족 집권기: 고조선 계승 의식 → 자주적, 주체적 인식

1) <삼국유사>

- 충렬왕 때 일연

- 불교사 중심: 흥법, 탑상, 의해 등

- 단군신화 기록

- 가락국기(가야사) 수록

- 고대의 민간 설화와 기록 수록

- 향가 14수 수록

삼국유사
- 제왕들이 일어날 때는 천명과 비기록을 받아서 반드시 보통 사람과 다른 일이 있은 뒤에 큰 변란이 일어나 대기를 잡고 대업을 이룰 수 있는 것
- 그러니 삼국의 시조들이 모두 신기한 일로 태어났음이 어찌 괴이하겠는가

 

2) <제왕운기>

- 충렬왕 때 이승휴

- 상권: 중국 역사

- 하권: 동국군왕개국연대(단군~)

- 우리 역사를 중국과 대등하게

- 최초로 발해를 우리 민족 역사로 기록

- 영사체

제왕운기
- 중국과 확연히 구분
- 가운데 사방 천리 땅, 여기가 조선

 

 

* 성리학적 유교 사관: 정통, 대의명분 중시

1) <본국(조)편년강목>

- 충숙왕

 

2) <사략>

- 공민왕 때 이제현

 

 

 

4. 문학의 발달

1. 전기: 향가, 한문학

1) 향가

- 균여 <보현십원가>: 불교의 대중화

 

2) 한문학

- 정지상 <송인>

 

 

2. 후기: 신진 사대부, 민중

1) 경기체가

- 신진 사대부, 향가 형식 계승, 유교 정신과 자연의 아름다움

신진 사대부의 인식
- 공자가 "만일 나를 써주는 자가 있다면 내가 동쪽의 주나라(유교적 이상국가)로 만들겠다."라고 한 것이 바로 내가 할 일

사대부의 불교 비판
- 실로 인륜의 적일 뿐 아니라 천지의 거대한 좀

 

2) 설화 문학 (패관 문학)

- 이인로 <파한집>: 계림, 평양, 개성 비평

- 이규보 <백운소설>: 시화와 문답을 수집, 비평

- 이제현 <역옹패설>: 시문과 고사를 수집, 비평

 

3) 가전체 문학

- 사물을 의인화, 일대기 구성

- 임춘 <순전>: 술

- 이규보 <선생전>: 술

- 이첨 <생전>: 종이

 

4) 속요(장가)

- 서민의 생활과 감정, 자유분방한 형식

- <청산별곡>, <가시리>, <쌍화점>

 

 

* 역사 서술

1. 실록 편찬

- 고려 실록 → 조선 초기 <고려사> 편찬에 참고

- 외사고: 임진왜란 때 소실

 

 

 

5. 불교 발달

1. 초기: 호족 집권기

1) 특징

- 교종(화엄종, 법상종) 융성

- 선종 관심

 

2) 정책

(1) 태조

- 숭불 정책

- 훈요 10조

숭불 정책: 훈요 10조
- 우리 국가의 왕업은 반드시 모든 부처의 도움을 받아야 함

(2) 광종

- 승과 실시

- 교종: 균여 후원

- 선종: 법안종

- 천태학: 의통, 제관 파견

 

3) 균여

- 불교 대중화: 향가 <보현십원가>

- 화엄 사상 정비: 북악의 법손

- 화엄 사상 속에 법상종에 대한 통합 시도: '성상융회'

- 불교계와 세속과의 융회 시도: '성속무애'

 

 

2. 중기: 문벌 귀족 집권기 (의천의 천태종 운동)

1) 교종 통합

- 흥왕사

- 화엄종 중심

 

2) 교, 선 통합

- 교단 통합 운동: 국청사, 천토종

- 사상: 교관겸수, 내외겸전

→ 원효의 통합 불교 사상 계승

 

3) 기타

- 교장 간행: <신편제종교장총록>

- 화폐 주조 건의: 숙종 때 주전도감

의천
- 관도 배우지 않을 수 없고 경도 배우지 않을 수 없음
- 교리를 배우는 이는 내적(마음)인 것을 버리고 외적인 것을 구하는 일이 많고, 참선하는 사람은 밖의 인연을 잊고 내적으로 밝히기를 좋아함. 둘 다 양극단에 치우친 것
- 경론(: 부처의 말씀을 적은 것과 그 해석서)이 갖추어졌다 하더라도 장소(:주석서)가 없으면 그것이 폐해져 널리 펼 길이 없다고 말할 수 있음

 

 

3. 무신 집권기: 선종 중심 통합 운동, 결사 운동

1) 지눌 (목우자)

- 정혜쌍수: 참선과 교학을 함께

- 돈오점수: 인간의 마음 = 부처의 마음

- 무신 정권의 지원

(1) 개혁 운동

- 승려 본연의 자세

- 수선사 결사 운동

- 송광사

지눌
1. 돈오점수
- 본성에는 원래 번뇌가 없고 완전한 지성이 스스로 갖추어져 부처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돈오)
- 그것을 점차 닦아 나가는 종교적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점수)

2. 정혜쌍수
- 선정과 지혜를 같이 닦아야 하는 정혜쌍수

 

2) 요세

- 백련 결사

- 법화 신앙: 자신의 행동을 진정으로 참회

- 염불

- 천태선

 

3) 혜심

- 유,불 일치설

- 심성 도야 강조

혜심
- 공은 불교의 유생
- 나는 유교의 불자
- 불교와 유교가 아주 다르지만 그 실지를 알면 유교와 불교가 다르지 않음

 

 

4. 권문세족 집권기: 불교 타락 → 불교 혁신 운동의 단절

1) 개혁 운동

- 보우

 

 

* 승과 제도

- 관청: 승록사

 

 

 

6. 도교와 풍수지리설

1. 도교

1) 행사

- 팔관회 개최

 

2) 사원(도관)

- 예종 때 복원궁

 

 

2. 풍수지리설: 3경

1) 초기

- 서경 길지설: 모청의 서경 천도 운동의 배경

 

2) 중기

(1) 한양 길지설

- 한양을 남경으로 승격 (문종)

- 남경개창도감 (숙종)

풍수지리설 (한양길지설)
- 남경으로 수도 옮기기를 청하여
- 도선기

(2) <해동비록>

 

 

7. 과학 기술

1. 기술 교육

1) 교육기관

- 국자감의 기술학부

cf) 공민왕 이후 성균관에서 기술 교육X 

 

 

2. 천문학, 역법

1) 담당 관청

- 사천대

→ 첨성대에서 관측 업무

 

2) 역법

(1) 초기

- 당의 선명력

(2) 후기

- 충선왕: 원의 수시력

- 공민왕: 명의 대통력

 

 

3. 의학

1) 의료 기관

- 태의감: 왕실 질병 치료

- 동서 대비원: 서민 치료

 

2) 기술

- 향약방: 고려의 독자적 처방

 

3) 의서

- <향약구급방>: 13c (대장)도감 편찬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서

향약구급방
- 수록한 약은 모두 우리나라 백성들이 쉽게 알고 얻을 수 있는 것
- 약을 먹는 방법도 이미 잘 알려져 있음

 

 

4. 화약

1) 최무선

- 진포에서 왜구 격퇴

 

 

5. 조선 기술

1) 전함

(1) 13c 후반

- 원의 강요 → 일본 원정에 필요한 전함 건조

(2) 고려 말

- 전함에 화포 설치, 왜구 격퇴에 활용

 

 

6. 인쇄술

1) 목판 인쇄

- 한 가지 책을 다량 인쇄할 때 적합

(1) 초조대장경

- 제작: 거란 침략 이후

- 문종 때 거란의 대장경 참고(여진X, 요)

- 보존: 대구 부인사

초조대장경
1. 조판
- 거란 군사가 송악에 주둔하면서 물러가지 않자 여러 신하들과 함께 대장경을 완성할 것을 맹세

2. 소실
- 부인사에 소장되어 있던 대장경(초조대장경) 판본도 또한 남김없이 태워져 버렸습니다

(2) 교장 (속장경)

- 제작: 의천

- 과정: <신편제종교장총록> 편찬

- 교장도감 설치

교장
- 비록 경과 논을 갖추어질 수 있게 되었으나, 그에 대한 소초는 빠졌음
- 옛 것이나 지금 것을 가리지 않고 요나라와 송나라에 있는 여러 학승들의 가르침을 모아 하나의 장전으로 만들어 펴고자 함

(3) 재조대장경 (팔만대장경)

- 제작: 몽골 침략 이후

- 과정: 강화도에 대장도감 설치, 진주

- 보존: 해인사 장경판전(조선 초기 건물)

재조대장경
1. 배경
- 역사

2. 제작
- 역대로 전해 내려온 대장경 판각이 모두 적병(몽골)에 의해 불타버리고
- 최우, 도감

 

2) 활판 인쇄

- 밀랍으로 활자를 활판에 접착

cf) 전문 인쇄 기관: 공양왕 때 서적원

(1) 상정고금예문

- 과정: 인종 때 의례서를 최우가 제작

상정고금예문
- 최우는 주자를 사용
- 28본을 인출하여 제사에 나누어 간수하게 하니

(2) 직지심체요절

- 우왕 때 청주 흥덕사

- 보존: 현재 프랑스

 

 

 

8. 유물, 유적

1. 전기의 건축

1) 특징

- 현재 거의 남아있지 않음

ex) 만월대

 

 

2. 후기의 건축 (목조)

1) 특징

- 주심포 양식, 배흘림기둥

- 주변 자연과 어우러진 외관

- 경건한 내부 공간

 

2) 안동 봉정사 극락전 (경북)

- 주심포

- 현존 최고의 목조 건물

- 배흘림

안동 봉정사 극락전 (출처: 위키백과)

 

3) 예산 수덕사 대웅전 (충남)

예산 수덕사 대웅전 (출처: 위키백과)

 

4)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경북)

- 팔작 지붕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출처: 위키백과)

 

 

3. 서예

1) 후기

- 원의 송설체(조맹부체) 유행

- 서예가: 이암(농상집요)

 

2) 탄연의 글씨

- 고려 전기, 왕희지체

cf) 신품 4현

- 신라: 김생

- 고려: 유신, 탄연, 최우

 

 

4. 불교 예술

1) 전기

- 대형, 균형 잡힌 불상

→ 신라 양식 계승

 

2)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 은진 미륵

- 대형 석불, 자유분방한 미

 

3)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 입상

-대형 석불, 자여분방한 미

 

 

5. 회화

1) 작가

- 도화원: 전문 화원

 

2) 작품

- 전기: 이령(예성강도)

 

3) 양수 관음도, 수월 관음 보살도

- 고려 후기 회화

- 구복적 성격

 

4) 부석사 조사당 벽화

 

5) 천산대렵도

- 공민왕 제작

천산대렵도 (출처: 위키백과)

 

 

6. 청자

1) 배경

- 신라와 발해의 전통

- 송의 자기 기술

 

2) 11c

- 독자적 경지 (비취색)

 

3) 12c 중엽 ~ 13c 중엽(무신정권)

- 상감기법 도입

 

4) 쇠퇴

- 북방 기술 도입

- 분청사기 등장

 

5) 제작

- 전라도 강진과 부안

 

6)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 은입사 기술 발달

 

7) 나전대모칠 국화넝쿨무늬모자합

 

 

7. 다각다층 석탑

1) 삼국 (고려 초기)

- 개성 불일사 5층석탑: 고구려

- 부여 무량사 5층석탑: 백제

여주 고달사지 승탑: 신라, 팔각원당형

 

2) 고려

(1) 개성 현화사 7층석탑

- 고려 현종

 

3) 중국

(1) 평창 월정사 8각 9층석탑

- 고려 전기

(2) 개성 경천사지 10층석탑

- 고려 후기(충목왕)

- 원(라마교) 영향

- 조선의 원각사지 10층석탑에 영향

 

4)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 고려 중기

- 평면 사각형(=방형)

320x10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