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 만주 무장 투쟁

by 노트 주인 2023. 5. 24.
728x90
320x100

한국사
일제의 정책 국내 독립 운동 만주 무장 투쟁
중국 관내 운동 국학 연구 일제강점기의 사회와 문화

 

 

1. 1910년대

: 독립 운동 기지 건설

 

1. 서간도

: 남만주 유하현 삼원보 중심

 

1) 학교

- 신흥 강습소 → 신흥 무관학교

 

2) 단체

* 자치 단체

(1) 경학사

(2) 부민단

- 경학사 해산 후 조직

* 무장 단체

(1) 로군정서

임시정부 산하 조직
- 북로군정서와 서로군정서 두 기관은 임시정부를 절대 옹호

 

 

2. 북간도

: 왕청, 연길, 용정, 명동 등

 

1) 학교

(1) 서전서숙

(2) 명동학교: 김약연 설립

 

2) 단체

(1) 중광단

- 무장 단체

→ 변화: 정의단, 북로군정서

임시정부 산하 조직
- 북로군정서와 서로군정서 두 기관은 임시정부를 절대 옹호

(2) 국회군

 

 

3. 중소 국경 지역

: 밀산부

 

1) 한흥동

- 이상설 주도

 

 

 

2. 1920년대

: 만주 무장 투쟁

 

- 한인 다수 분포 지역

: 베이징, 관전, 유하(류허), 연길, 블라디보스토크

 

 

1. 독립군의 전투

1) 봉오동 전투

1. 삼둔자 전투
- 독립 전쟁의 제1회전이라고 칭함

2. 봉오동 전투
- 아군을 지휘하던 홍범도, 최진동 장군은 즉시 적을 공격함

- 대한독립군(홍범도)

 

2) 청산리 전투

- 훈춘 사건이 발발하자, 천수평, 어랑촌
- 어랑촌 전투, 만록구(혹은 완루구)
- 마을 아낙네들이 치마폭에 밥을 싸서 빗발치는 총알 사이로 올라와 한 덩이 두 덩이 동지들의 입에 넣어줌

- 배경: 훈춘 사건 구실로 일본군이 만주 출병

- 주도: 북로군정서(김좌진) + 대한독립군(홍범도)

 

 

2. 독립군의 시련

청산리, 봉오동 → 밀산 → 자유시(스보보드니)

1) 간도 참변 (경신참변)

- 훈춘 사건이 발생하자, 한인이라면 수색하며 살해하고 있음
- 항일 부락이었음, 우리 부대는 이 부락을 습격하여 가옥 40여 호를 불 지르고, 10여 명을 독가스로 죽였음

- 목표: 봉오동, 청산리 전투 패배에 대한 일본의 보복

- 결과: 밀산으로 이동

 

2) 대한독립군단 결성

- 주도: 총재 서일

 

3) 자유시 참변 (흑하사변)

- 양측 조선인 부대들은 한걸음도 전진하지 않고
- 나는 차마 붉은 군대나 내 동족을 죽일 수도 없고, 그들한테 죽기도 원통하니 자살하겠소

- 소련이 조선인 독립 부대에 무장 해제 요구

- 무장 해제 거부

- 대규모 학살 자행

 

 

3. 독립군의 재정비

: 3부의 성립

 

1) 육군주만 참의부

- 임시정부 지지 세력

참의부
- 남만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한 통의부
- 통의부 내 임시정부를 독립운동 단체의 최고 기관으로 삼을 것을 주장하는 백광운(제1중대장), 최석순(제2중대장), 최지풍(제3중대장), 김명봉(제5중대장)

 

2) 정의부

- 참의부 참여X

 

3) 신민부

- 독립 군단

- 정의부에 대하여, 북만에서의 동류의 통일 단체로 동 단체를 조직한 것
- 민사, 외교, 군사

 

4) 성격

- 자치 행정

- 군정 기관, 민정 기관

 

 

4. 독립군 활동에 대한 위협

- 미쓰야 협정: 재만 한인 단속에 관한 협약

- 한국인이 무기를 소지하거나 한국으로 침입을 엄금
- 위반자는 검거하여 일본 경찰에 인도
- 만주에 있는 불령선인(불온한 조선인) 단체를 해산시키고 무장을 해제, 무기와 탄약을 몰수

영향
- 수많은 혁명 투사가 붙들려서 일본영사관으로 넘겨져 국내로 압송
- 교수대의 이슬이 된 사실

 

1) 체결

- 주체: 만주 군벌 짱쭤린의 부하 + 조선 총독부

- 내용: 만주 지역, 독립군 탄압/체포/구속/인도

 

 

5. 독립군 통합 노력

: 국민부 + 혁신 의회

국민부
- 통일적 자치 기관의 실현을 꾀하며
- 우리 운동의 통일적 새 진로를 깨우쳐 인도할 것을 동지와 대중 앞에 선언함

 

1) 배경

- 민족 유일당 운동 전개

(1) 국내

- 신간회, 근우회 결성

 

 

 

3. 1930년대 이후

1. 1930년대 전반

: 중국군과의 연합 작전

 

1) 배경

(1) 내적

- 일제의 한중 분열 정책(만보산 사건)

(2) 외적

- 일제의 만주 침략, 만주국 수립

 

2) 내용

(1) 조선혁명군 (양세봉)

- 국민부가 순전한 주민 자치단체로 변함
- 혁명 운동에 대한 군사 역할을 전적 임무로 하여

- 영릉가, 흥경성 전투 승리

(2) 한국독립군 (지청천)

- 군사 위원장 지청천

- 쌍성보, 사도하자, 대전자령 전투 승리

 

 

2. 1930년대 중후반

: 중국과의 연합부대 결성

조선혁명군과 요령 민중 자위군의 합의
- 중국(의용군)과 한국 양국의 군민은 절실히 연합하여 일치 항전
- 인력과 물력을 서로 통용함

한국독립군과 중국 길림 호로군의 협정
- 한중 양군은 어떤 불리한 환경에 처하더라도 상호 장기 항전을 맹서

 

1) 조직

- 동북항일연군 개편

 

2) 지원

(1) 조국광복회

- 만주, 함경도(갑산, 혜산) 중심

- 보천보 전투 지원

- 김일성 부대가 국내 습격의 목표로 선택한 보천보, 즉 보천면 보전은 압록강으로 흘러들어오는 가림천에 면한 작은 시골 도시
- 5명의 경찰이 주재소에 있었을 뿐

- 해방 이후 북한 정부에 갑산파로 참여

 

 

 

* 국내 무장 투쟁

천마산대
- 평안북도 의주 천마산 부근에서 편성
320x10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