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 일제강점기의 사회와 문화

by 노트 주인 2023. 5. 25.
728x90
320x100

한국사
일제의 정책 국내 독립 운동 만주 무장 투쟁
중국 관내 운동 국학 연구 일제강점기의 사회와 문화

 

 

1. 사회적 민족 운동

1. 여성 운동

1) 배경

(1) 여성의 지위 약화

- 일제강점기 사회적 지위 퇴보: 호주제 법제화, 가족법 제정

(2) 신여성 등장

 

2) 단체

- 조선 여성동우회

- 여성 해방 운동

 

3) 근우회

취지문
- 여성 문제
- 협동 전선으로 조직
- 분열 정신을 극복하고 우리의 협동 전선을 공고하게 하는 것이 조선 여성의 의무
- 조선 자매 전체의 역량을 단결하여 운동을 전개

행동 강령
- 일체 봉건적 인습 및 미신 타파
- 조혼 폐지 및 결혼의 자유
- 부인 노동의 임금 차별 철폐 및 산전, 산후 임금 지불

- 신간회 자매단체

- 여성의 단결과 지위 향상

- 여학생 운동 지원

 

 

2. 어린이 운동

1) 천도교 소년회

- 만 14세 이하에 대한 무상 또는 유상의 노동을 폐하게 하라

- 어린이날(5월 1일) 제정

- 잡지 <어린이> 발간

 

2) 조선 소년연합회

- 전국적 소년 운동 연합 단체

 

 

3. 형평 운동

: 조선 평사

조선 형평사 설립 취지문
- 공평은 사회의 근본, 사랑은 인간의 본성
- 모욕적 칭호를 폐지
- 백정
- 갑오년(1894년) 6월 이후 칙령에 의해 백정이라는 호칭이 없어지고 평민으로 되었던 바
- 진주에서 발생

1) 조직

- 진주 시발

 

2) 활동

-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 대우 철폐 요구

- 사회주의 세력과 연계

 

3) 한계

- 반형평 운동 발생

 

4) 흐름

(1) 전근대

- 호칭: 화척, 양수척(고려) → 백정(조선 세종 이후)

(2) 근대

- 동학농민군의 폐정 개혁안 12개조: 패랭이를 없앨 것

- 사회적 자각: 박성춘(관민 공동회)

(3) 한계

- 일제의 차별: 호적에 '도한'

 

 

4. 청년 운동

1) 조선청년총동맹 (1924)

- 우리의 청년의 단결로 청년 운동의 통일을 도모하여 대중 본위인 신사회를 건설
- 조선 민중 해방 운동의 선구

- 신간회 해소 이후 해산

 

 

 

2. 해외 이주 동포

1. 만주 (간도 중심)

1) 이주 배경

(1) 합병 전

- 중국: 청의 봉금 정책 해제

- 민족 진영: 독립운동의 거점 마련

(2) 합병 후

- 1910~20년대: 농민의 이주

- 1930년대: 만주 개발을 목적, 강제 이주

 

2) 활동

- 1910년대: 대한독립선언

 

3) 시련

- 1920년대: 간도 참변

- 1930년대: 만보산 사건

 

 

2.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1) 이주

- 1860년대부터 이주

 

2) 활동

(1) 합병 전

- 국내 진공 작전: 이범윤, 안중근

- 해조신문

(2) 1910년대

- 13도 의군: 이상설

- 성명회

- 권업회

- 신한촌의 거류민

러시아의 탄압
- 신문의 발행을 금함
- 러일 양국은 동맹국이 되어 일본 요청에 의하여 러시아는 연해주의 한국인 항일 운동을 탄압

- 대한광복군정부: 이상설(정통령), 이동휘(부통령), 러시아의 탄압으로 해체

- 러시아
- 이상설, 이동휘
- 정통령은 이상설 씨가 되었고, 부통령은 이동휘 씨가 당선

- 대한국민의회: 손병희를 대통령으로 선출

 

3) 정당

- 한인사회당: 이동휘, 조선인 최초 사회주의 정당 조직

 

4) 시련

- 1930년대: 중앙아시아로의 강제 이주 정책

cf) 홍범도: 카자흐스탄 사망

 

 

3. 일본

1) 이주 배경

- 일제의 강제 연행(징용, 1930년대 후반 이후)

- 개인 이주가 많음

 

2) 활동

- 2 · 8 독립 선언

 

3) 시련

- 관동 대참변

- 지진
-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

 

 

4. 미주 지역 (하와이, 멕시코)

한인의 생활상
- 사탕밭에서 일하는 우리 다수 동포
- 한인은 고국에서 용병을 일으켜 독립 전쟁을 준비하고자 군사훈련
- 조선이 쌀살해질 무렵 배를 타고 출발
- 숭무 학교를 설립
- 국민회에 납세 의무를 충실하게 이행

1) 이주

- 20c, 정부

- 수민원 주도 (정부의 여권 담당 기구)

 

2) 단체

(1) 1910년대

- 대한인 국민회: 장인환, 전명운 의거, 샌프란시스코, 신한민보, 대한민국 임시정부 자금 지원

- 대조선 국민군단: 하와이

- 숭무 학교

(2) 1920년대

- 구미 위원부

(3) 1940년대

- 재미 한족연합위원회

 

 

* 노동 이민

독일
- 월 4만 원 봉급 중에 3만 원 이상씩 (한국으로) 송금
- 지하에 처음 들어간 날, 막장
- 석탄가루를 뒤집어쓴 채

서남아시아
- 중동 카이바-알울라 간 고속도로
- 한국이 진출하기 전까지 중동의 모든 건설 공사

 

 

 

3. 사회의 변화

1. 인구와 도시

1) 남촌

- 청계천 남쪽의 일본인 거리

- 정치, 상업의 중심지

 

 

2. 생활

1) 의생활

- 모던걸과 모던보이

(1) 전시 동원 복장

- 남성: 국민복

- 여성: 몸빼

 

2) 식생활

(1) 산미증식계획 이후

- 한국인 1인당 쌀 소비량 감소

(2) 중일전쟁 이후

- 배경: 쌀 공출제 실시

 

3) 도시의 주생활

(1) 1930년대

- 문화 주택: 2층 양옥, 개인의 독립 공간 확보

(2) 1940년대

- 영단 주택: 서민의 주택난 해결을 위한 연립 주택

 

 

4) 기타

(1) 잡지

- 별건곤: 대중지, 개벽사 발행

- 여성지: 신여성, 개벽사 발행

(2) 통행 규칙

- 좌측통행 (1921)

- 조선물산공진회: 경복궁

 

 

 

4. 민족 교육 운동

1. 교육 시설

1) 1910년대

(1) 사립학교

- 사립학교 규칙 제정

 

2) 1920년대

- 야학

 

3) 1930년대

(1) 농촌 계몽 운동

- 조선일보의 문자보급 운동 (1929)

- 동아일보의 브나로드 운동

 

 

2. 교육 단체

1) 조선 교육회

- 민립대학 설립운동

 

2) 조선 여자 교육회

 

 

* 과학 대중화 운동

- 주도: 김용관

- 계기: 안창남의 고국 방문 비행

 

 

 

5. 종교

1. 불교

1) 합병 후

(1) 일제의 탄압

- 사찰령

- 사찰을 병합, 이전, 폐지하고자 할 때는 조선 총독의 허가를 얻어야 함

- 포교 규칙

(2) 개혁 운동

- 조선 불교 유신회

 

 

2. 유교

1) 합병 전

- 일제의 탄압: 대동학회

- 유교 개혁 운동: 박은식(유교 구신론, 대동교)

유교 구신론
- 첫째는 유교파의 정신이 오로지 제왕의 편에 있고 인민 사회에 보급할 정신이 부족한 것
- 셋째는 우리 대한의 유가에서 쉽고 정확한 법문(양명학)을 구하지 않고 질질 끌고 되어가는 대로 내버려 두는 공부(주자학)를 전적으로 숭상하는 것

 

2) 합병 후

- 외교 활동: 독립 청원서를 제출

 

 

3. 천도교

1) 합병 전

(1) 3대 교주: 손병희

- 천도교 개칭

(2) 사상

- <동경대전>, <용담유사>

(3) 활동

- 포접제

 

2) 합병 후

(1) 활동

- 3·1 운동 주도, 제2의 3·1 운동 계획

→ 자주독립 선언문

종교계의 독립운동
- 지난 독립 만세 운동

- 6·10 만세 운동 준비

- 천도교 소년회

(2) 언론

- 만세보

- <개벽>

- <어린이>

 

 

4. 대종교

1) 숭배

- 단군

 

2) 합병 전

- 오적암살단(자신회)

 

3) 합병 후

- 북로군정서

종교계의 독립운동
- 중광단이라는 이름으로
- 다시 대한 정의단으로 이름을 바꾸고
- 임시정부에 신청하여 국무원 제 205호로서 승인을 받아

 

 

5. 천주교

1) 포교의 자유 획득

- 조불 수호 통상 조약

 

2) 활동

- 의민단 조직, 청산리 전투

- 고아원, 양로원 설립

 

3) 문화

- <경향신문>

- 잡지 <경향>

 

 

6. 원불교

1) 창시

- 박중빈

 

 

7. 개신교 (기독교)

1) 합병 전

- 교육 사업과 의료 시설

 

2) 합병 후

(1) 탄압

- 전 조선적으로 많은 교역자를 검거하고 취조를 개시함

- 안악 사건 → 105인 사건

- 신사 참배 강요

 

 

 

6. 예술

1. 미술

1) 전통 회화

- 안중식: 장승업의 제자

 

2) 서양화(유화)

- 고희동: 최초의 서양 화가

- 나혜석: 최초의 여류 화가

- 이중섭: 소를 통해 자신의 불우한 처지와 민족 현실 표현

 

 

2. 연극

1) 단체

- 혁신단

- 토월회

- 극예술 연구회

 

 

3. 영화

1) 활동

- 조선 키네마 주식회사 설립

 

2) 작품

- 1920년대: <아리랑> (1926)

- 1930년대: 유성영화

 

3) 일제의 탄압

- 조선 영화령 공포

 

 

4. 문학

1) 1910년대

- 계몽 문학

- 이광수 <무정>

 

2) 1920년대

- 다양한 문예 사조

- 저항 문학: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민족의 고유한 정서를 바탕으로 식민지 현실 표현

ex) 김소월, 한용운

- 신경향파 문학 (프로 문학): 카프(KARF,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 사실주의 문학

 

3) 1930년대

- 시문학파

- 청록파

- 저항 시인: 윤동주, 이육사(조선의열단 단원)

- 친일 문인

 

 

* 문화재 보호 운동

- 주도: 간송 전형필

ex) 보화각 (= 간송 미술관) 설립

 

 

* 이기영, 고향

- 소작인
- 농민 봉사, 계몽 활동
- 동네 마름
- 공장의 직공
- 노동쟁의

 

320x10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