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 ||
대한민국 정부 수립 |
이승만과 장면 정부 (1, 2공화국) |
박정희와 유신 체제 (3, 4공화국) |
전두환과 민주화 이후 (5, 6공화국) |
북한과 통일 노력 |
1. 북한의 정치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헌법
1. 1948
-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 최고 인민회의
- 개인 자연인이나 개인 법인의 소유
2. 1972
- 조선 노동당 주체사상을 자기 활동의 지침으로 삼음
- 주석은 국가의 수반
- 주석은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전반적 무력의 최고 사령관, 국방 위원회 위원장이 되며 국가의 일체 무력을 지휘 통솔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합영법
- 경제 기술 협력, 교류를 확대 및 발전시키는 데 이바지
- 합영 기업은 당사자들이 출자한 재산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며 독자적으로 경영 활동
1. 정부 수립 과정
- 일제의 소유지 및 일제의 정권 기관에 적극협력한 자 또는 해방될 때 거주지에서 도주한 자
- 5정보 이상을 소유
- 지주 및 성당, 사찰, 기타 종교 단체의 소유자
- 무상으로 영원히
1) 건국 준비
2) 소련 군정
- 조선 사람들이여! 기억하라!
- 이제는 모든 것이 죄다 당신들에게 달렸다
- 간접 통치
-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3) 민주 개혁
- 북조선 5도 행정국 → 북조선 임시 인민위원회
- 토지 개혁법, 국유화법, 노동법
4) 정부 수립
- 조선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실시
→ 조선 최고인민회의 구성
- 주권(인민), 소유의 주체(국가, 협동단체, 개인)
- 내각제, 수상 + 부수상
2. 1950년대
1) 반대파 숙청
- 남로당계
- 연안파, 소련파 (8월 전원회의 사건, 8월 종파 사건)
3. 1960년대
1) 독재 강화
- 온건파(갑산파) 제거
2) 주체사상의 유일 사상화
4. 1970년대
: 김일성 유일 체제 확립
1) 사회주의 헌법
- 인민X, 개인X
- 주체 사상을 최초로 헌법에 규범화
2) 권력 구조
- 중앙 인민위원회: 주석 기능 보좌
- 수상 → 국가 주석
5. 1980~1990년대
: 김정일의 권력 승계
1) 1990년대
- 조선 민족 제일주의: 우리식 사회주의
* 1990년대 이후 북한의 헌법 개정
1) 1992년
- 국방위원회 + 국방 위원장
2. 북한의 경제
1. 1950년대
: 사회주의 경제 건설
1) 전후 복구 사업
- 중공업의 우선적 발전
2) 천리마 운동
- 생산력 증대 시도
2. 1960~1980년대
1) 1970년대
- 3대 혁명 소조운동
→ 3대 혁명 붉은기 쟁취 운동
3. 1980년대 이후
1) 대외 상황
- 소련과 동구권 국가의 붕괴
→ 교역 국가 상실 + 에너지 및 원자재 부족
2) 정책
(1) 1980년대
- 조선합작경영법(합영법)
(2) 1990년대
- 나진, 선봉 자유 경제 무역 지대 설치 → 외국인 투자법
- 합영법 개정
(3) 2000년대
- 신의주 특별 행정구 기본법
- 개성 + 금강산
- 7·1 경제 관리 개선 조치
3. 우리의 통일 노력
1. 이승만 정부
1. 민주 기지론 (북한)
- 해방되지 못한 남반부를 전쟁을 통해서라도 해방시켜야 함
2. 진보당 강령
- 우리는 오직 피 흘리지 않는 통일을 원함
1) 정부
- 북진 통일
- 진보당 사건
2) 제네바 정치 회의
2. 장면 정부
민족 통일 전국 학생 연맹 공동 선언문
- 매판 관료 세력과 대중 간의 모순
- 통일 세력 대 반통일 세력 간의 모순
- 4월 혁명을 계기로 민족 대중은 매판 관료 세력을, 통일 세력은 반통일 세력을 압도
- 평화 세력은 전쟁 세력을 압도
- 남북 학생 회담 장소는 판문점으로 함
남북 학생 회담
- 판문점
- 정부는 남북 학생 회담에 임하는 모든 편의를 제공하라
1) 정부
- 북진 통일론 철회
- 선 경제 건설, 후 통일론: 학생, 혁신계
- 민간: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판문점으로
3. 박정희 정부
1) 정책
- 반공 강화
- 선 건설, 후 통일론
2) 긴장 고조
(1) 내용
- 1·21 청와대 기습사건
- 울진·삼척 공비 침투 사건
- 미 정보함 푸에블로호 납치 사건
(2) 대응
- 향토 예비군 설치
- 주민등록증 발급
(3) 변화
- 계기: 닉슨 독트린 발표
- 내란이나 침략에 대하여 아시아 각국이 스스로 협력하여 그에 대처하여야 함
- 결과: 냉전 체제 완화
3) 대화
- 8·15 선언: 평화 공존
- 남북 적십자회담 제의
(1) 7·4 공동 성명
- 조국 통일 원칙들에 합의
- 자주적, 평화적, 민족적 대단결
- 서울과 평양 사이에 상설 직통 전화 놓기로 합의
- 남북 조절 위원회를 구성, 운영하기로 합의
- 통일 원칙 합의 (자주) + 상설 직통 전화 개설
- 남북조절위원회를 설치
- 합의된 조국 통일 원칙에 기초
- 한계: 남북한 정권의 독재 체제 구축에 이용
- 중단: 6·23 선언
(유신체제)
- 우리는 북한과 함께 국제 연합에 가입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음
- 우리와 이념과 체제를 달리하는 국가들도 우리에게 문호를 개방할 것을 촉구
4. 유신 체제
1) 6·23 선언
-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문호 개방
- 노태우: 본격 수교, 남북한 UN 동시 가입
cf) 북한의 도발
- 육영수 저격 사건 → 8·18 판문점 도끼 만행
5. 전두환 정부
1) 내용
- 남북 고향 방문단 교류
6. 노태우 정부
1) 정부
(1) 7·7 선언
- 남북 간의 소모적인 경쟁 대결 외교를 종결
- 우리는 소련, 중국을 비롯한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
(2) 남북 고위급 회담 시작 → 남북한 동시 유엔 가입
(3) 남북 기본 합의서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
- 7·4 남북 공동 성명에서 천명된 조국 통일 3대 원칙을 재확인
- 정치 군사적 대결 상태를 해서
- 쌍방 사이의 관계가 나라와 나라 사이의 관계가 아닌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잠정적으로 형성되는 특수 관계
- 남북한 정부 사이에 최초로 공식 합의된 문서
- 직통 전화 + 군사공동위원회 설치
(4)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공동 선언
- 남과 북은 핵무기의 시험, 제조, 생산, 접수, 보유, 저장, 배분, 사용을 하지 아니함
- 냄과 북은 핵에너지를 오직 평화적 목적에만 이용
7. 김영삼 정부
1) 1차 북핵 위기
- 해결: 김일성 - 카터 회담
2) 제네바 기본 합의서
- 한반도 에너지 기구 (KEDO)
→ 북한 함경도 신포 지역에 경수로 발전소 건설 시작
8. 김대중 정부
: 햇볕 정책
1) 관계 개선 노력
-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의 소떼 방북
→ 금강산 관광 사업 시작 (해로 관광)
2) 6·15 공동 선언
- 남측의 연합제 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안이 서로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
- 이 방향에서 통일을 지향해 나가기로
- 흩어진 가족, 친척 방문단을 교환
- 제1차 남북 정상 회담 개최
- 통일 방안의 공통점 확인
- 본격적 이산가족 상봉: 남북 이산가족 면회소 설치
- 금강산 육로 관광
- 경의선 복구 사업
- 개성 공단 설치
9. 노무현 정부
: 10·4 선언
- 제2차 남북 정상 회담
- 종전 선언 추진
- 서해 평화 협력특별지대 설치: 해주공단 설치
'공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전두환 정부와 민주화 이후 (0) | 2023.05.29 |
---|---|
[한국사] 박정희 정부와 유신 체제 (0) | 2023.05.29 |
[한국사] 이승만 정부와 장면 정부 (0) | 2023.05.26 |
[한국사]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 (3) | 2023.05.26 |
[한국사] 일제강점기의 사회와 문화 (0) | 2023.05.25 |
[한국사] 국학 연구 (2) | 2023.05.24 |
[한국사] 중국 관내 운동 (0) | 2023.05.24 |
[한국사] 만주 무장 투쟁 (0) | 2023.05.24 |
댓글